선거에서 특정 후보가 사퇴하거나 비슷한 성향의 후보 간 단일화가 이뤄질 경우 실제로 그 파급 효과는 얼마나 될까. 4ㆍ29재보선 투표일을 불과 사흘 앞두고 성사된 울산 북구에서의 진보진영 후보 단일화는 과연 승부수가 될 수 있을까.
과거 사례들을 보면 후보단일화의 정치적 효과를 일률적으로 재단하기는 어렵다. 다만 정치적 상징성이 큰 선거의 경우엔 확실히 효과가 있었다. 1997년 대선 당시의 DJP 연합은 수평적 정권교체라는 성과를 이뤄냈고, 2003년 4월 재보선 때 새천년민주당과 개혁당의 연합공천은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의 국회 입성으로 귀결됐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있다. 2002년 대선 때는 노무현 정몽준 후보 간 단일화가 깨진 게 오히려 노무현 후보의 당선으로 이어졌다는 평가가 많다. 역대 선거에서 수많은 무소속 후보들이 유력 정당 후보를 지지하며 사퇴했지만 선거 결과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 경우는 좀처럼 찾아보기 어렵다.
이번 재보선에선 진보신당 조승수 후보가 진보진영 단일후보로 나선 울산 북구가 시험대에 올라 있다. 시기적으로 사표 방지를 장담하기 어려울 만큼 굉장히 늦은 게 사실이다. 하지만 선거 판도를 뒤흔들 만큼의 정치적 파괴력을 가질 것이라는 데 별다른 이견이 없다.
이를 신율 명지대 교수는 "노동자 밀집 지역이라는 지역적 특성이 다른 요인들을 압도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간 진보 대 보수의 맞대결 성사 여부가 최대 관심사였고, 진보정당 지지층에게 투표에 참여할 동인이 생겼다는 얘기다.
그는 "'반MB연대'를 명분으로 민주당 후보가 사퇴했을 때나 친여 무소속 후보가 한나라당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사퇴했을 때와는 상황이 완전히 달라진 것"이라고 덧붙였다.
양정대 기자 torc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