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회장 인선 외압 파동에 휘말렸다. 정준양 회장 체제가 출범한 지 불과 두 달 만에 정부 실세가 회장 선임에 개입했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파장이 일고 있다. 우제창 민주당 의원은 정준양 포스코건설 사장이 새 회장으로 추대되는 데 박영준 국무총리실 국무차장이 개입했다는 의혹을 최근 제기했다. 이명박 대통령의 오랜 지기인 천신일 세중나모 회장도 인선에 간여한 의혹을 받고 있다. 민주당은 진상조사 특위까지 구성하면서 이 문제를 정치쟁점화하고 있다.
경제위기로 세계 철강업체간 살아 남기 전쟁이 벌어지는 상황에서 포스코 인사가 말썽거리가 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세계 4위의 철강업체인 포스코는 철강재 수요 급감으로 올 1분기 영업이익이 70%나 급감하는 등 창사 이래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거센 폭풍우를 만나 안전한 항해가 급선무인 상황이다. 정권의 인사 개입 의혹은 규명돼야 하지만 위기에 처한 포스코가 정치권의 이전투구성 볼모가 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정권 교체기마다 인사 문제로 홍역을 치르고 정쟁의 대상으로 전락한다면 경영활동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 대외신인도에도 악재가 될 수밖에 없다.
정준양 회장은 1월 29일 사외이사로 구성된 'CEO추천위원회'에서 적법한 절차를 거쳐 회장으로 추대됐다. 포스코 이사회는 정치권의 외압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정 회장에게 임기 3년을 부여했다. 당시 회장 후보로 거론됐던 정 회장과 윤석만 포스코건설 회장 모두 포스코에서 잔뼈가 굵은 철강전문가로, 누가 선장을 맡든지 낙하산인사라고 볼 수 없는 사람들이다. 갓 출범한 경영진이 정치권 진흙탕 싸움의 희생양이 돼 경영 활동에 차질을 빚는다면 투자자들에게 불신감만 안겨줄 뿐이다.
민영화로 정부 지분이 1%도 없는 포스코가 새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 인사 외압논란이 재연되는 것은 볼썽 사납다. 포스코는 투명한 지배구조 확립과 독립적인 회장 선임 절차를 강화, 외압 논란을 차단하는 데 힘써야 한다. 정치권도 인사에 개입하거나 기간산업의 발목을 잡는 일이 없도록 주의하기 바란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