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평균 6명은 정부가 북한과 대화하는 것은 좋지만 당근이나 채찍 어느 한쪽으로 쏠리는 편향적 자세는 경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의 대북 정책 방향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58.0%는 '북한과의 대화를 추진하면서도 적절한 긴장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답했다. 일방적 퍼주기나 강경대응보다는 남북 간 밀고 당기기를 통해 얽힌 실타래를 풀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어 '더욱 적극적으로 북한과 대화하고 대북 경제지원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유화론이 21.2%로 뒤를 이었다. '북한에 대해 단호한 태도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강경론은 이보다 3.7% 포인트 적은 17.5%였다. '모름ㆍ무응답'은 3.3%였다.
'대화ㆍ긴장관계 병행론'은 자영업자를 제외한 모든 계층에서 50%를 웃돈 가운데 특히 20대(62.3%), 학생(67.4%), 농ㆍ임ㆍ어업 종사자(66.7%), 대구 경북(61.3%), 월소득 201만~300만원(65.5%)에서 선호도가 높았다. 반면 '적극적 대화와 경제지원 확대'는 호남(34.3%), 블루칼라(27%), 민주당 지지층(35.3%), 민주노동당 지지층(38.2%)에서 선호했고, '단호한 대북 자세'는 자영업(24.3%), 충청(22.7%), 한나라당 지지층(26.1%)에서 높은 지지를 받았다.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 가운데서는 대북 강경론이 24.0%로 유화론(13.5%)보다 많았다. 반면 국정운영 평가에 부정적인 응답자의 경우 유화론(27.8%)이 강경론(13.8%)을 앞섰다.
김광수 기자 rolling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