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이사회 의장이 소유ㆍ지배구조 개편 필요성을 제기하고 나섰다.
서윤석(사진ㆍ이화여대 경영학과 교수) 포스코 이사회 의장은 이 달말 임기종료를 앞두고 가진 본지 인터뷰에서 포스코 사외이사와 이사회 의장으로 일했던 지난 5년간의 소회와, 미래발전을 위한 다양한 충고를 털어놓았다.
지배구조에 대해
서 의장은 우선 "오너(대주주)가 있는 것이 좋은 시스템"이라며 '주인 찾기'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1968년 정부 주도로 설립된 후 국민주 방식으로 정부지분을 매각해 2000년 완전 민영화했지만, 뚜렷한 대주주가 없다 보니 이래저래 단점이 적지 않다는 것. 서 의장은 "오너가 없으니까 직원들은 누가 회장, 사장이 되느냐에 늘 촉각을 곤두세우고, 주식이 없는 정부는 대주주 역할을 하려고 한다"고 지적했다.
서 의장은 그러나 포스코에 주인을 찾아주자는 것이 전횡적 오너경영체제로의 회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투명경영장점을 살릴 수 있도록, '소유-경영의 분리'가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그는 "오너는 있지만 전문경영인이 CEO가 되는 구조가 좋을 것"이라며 "오너는 CEO를 임명하는 이사회 의장 자격만 유지하면 '경영하는 CEO' '임명권을 가진 오너'라는 안정적인 경영ㆍ지배구조를 가질 수 있다"고 조언했다.
M&A에 대해
이구택 전 회장은 수년전 "적대적 인수합병(M&A) 걱정으로 밤잠을 못 이룬다"고 말한 적이 있다. 서 의장은 적대적 M&A 가능성을 염려했다.
그는 "주인 없는 회사가 경영을 잘못하면 곧바로 M&A의 타깃이 된다"며 "현금이 4조원이나 있고 주가하락으로 시가총액(30조원)이 전보다 많이 줄었기 때문에 (특정 기업이) 재무적 투자자를 끼고 인수할 경우 메리트가 적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경영권 승계 과정에서 불협화음이 발생할 경우 자본시장이 빈 틈을 노린다는 말도 덧붙였다.
후계자 문제에 대해
서 의장은 미래의 포스코 CEO가 꼭 '철강맨'을 고집할 필요는 없다고 했다. 그는 "이미 포스코는 내부적으로 에너지 분야를 비롯해 외부적으로는 건설 등 많은 계열사가 있고 사업다각화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며 "글로벌 경영마인드를 갖고 전체를 지휘할 수 있는 사람이면 철강맨이 아니어도 무방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서 의장은 '승계 프로그램'과 관련해서는 "사람마다 의견이 다르다"면서 "유상부 회장 시절처럼 총괄사장(당시 이구택 회장)을 두어 미리 단독후보가 되거나, 아니면 여러 후보들을 경쟁시켜 한 명을 고르는 방법도 있지만 모두 장단점이 있어 신중하게 검토할 문제"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포스코는 안정적인 CEO 승계를 위해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해 예비 후보군을 미리 검증하고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다.
서 의장은 포스코가 글로벌 톱클래스 기업으로 성장한 지난 5년 세월을 함께 했다. 그런 만큼 떠나는 아쉬움도 커 보였다. 사외이사 추천위원회가 자신에게 경영안정이 될 때까지 1년만이라도 사외이사를 더 하라고 부탁했지만, 사양했다고 한다. 그는 "승계문제가 일단 마무리됐고 다른 사외이사들이 그만 두는 상황에서 마치 욕심 부리는 것처럼 비춰질까 거절했다"며 "'박수 칠 때 떠나라'는 말처럼 포스코 발전을 기원하면서 물러나고 싶다"고 말했다.
박기수 기자 blessyou@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