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시장의 판도를 바꿀 자본시장통합법이 4일부터 시행된다. 우선 투자자의 펀드 가입 절차가 크게 바뀐다. 앞으로는 투자자가 자신의 정보를 제공하면 회사가 이를 파악한 뒤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상품을 추천해야 한다.
특히 은행 증권사 등은 투자자가 요청하지 않으면 방문, 전화 등을 통한 투자권유를 원칙적으로 할 수 없고, 거부의사를 밝혔는데도 투자권유를 계속하는 행위도 금지된다. 절차가 까다로울 뿐 아니라 시간도 최소한 30분~1시간 정도 소요될 전망이다.
가장 큰 변화는 ‘투자정보 확인서’를 작성하는 것이다. 창구 직원은 투자자에게 투자 권유를 받길 원하는 지 반드시 물어 본 뒤 확인서를 만들어야 한다.
확인서는 ▲나이 ▲예상 투자기간 ▲파생 상품을 포함해 투자 경험 ▲전체 금융 자산에서 투자 자금이 차지하는 비중 ▲소득 상태 ▲투자 목적(객관식) ▲금융 상품에 대한 지식 수준 ▲본인의 투자 성향을 본인이 스스로 판단하는 항목(주관식) 등 8개 문항으로 이뤄져 있다.
직원은 설문지 내용을 전산망에 입력해 항목별 점수를 따져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다. 이 점수에 따라 5등급으로 나눠 등급에 맞는 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 20점 이하의 투자자는 안정형으로 무위험(1등급) ▲20점 초과~40점이면 안정추구형으로 저위험(2등급) ▲40점 초과~60점은 위험중립형으로 중위험(3등급) ▲60점 초과~80점이면 적극투자형으로 고위험(4등급) ▲80점 초과일 경우 공격투자형으로 초고위험(5등급) 상품에 가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장주에 투자하면서 초과 수익을 추구하는 펀드는 초고위험 펀드고, 나머지 가치주 펀드와 시장 수익률 정도의 안정수익을 노리는 펀드는 고위험 펀드에 속한다. 위험 중립형 투자자부터 주식 편입이 60% 이하인 주식혼합형 펀드에 가입할 수 있다. 투자 경험이 1년이 채 안될 경우 원금보장형 주가연계증권(ELS)이나 파생상품연계증권(DLS) 등 위험도가 낮은 상품만 들 수 있다.
결국 자신의 정보를 얼마나 정확히 제시하느냐에 따라 더 적절한 상품을 가입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정보를 줬다고 해서 ‘판매사가 알아서 해주겠지’라는 생각을 버려야 하고, 투자자 스스로 책임을 진다는 마음 가짐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금이라도 의심이 들거나 이해하지 못한 내용도 확실히 의사 표시를 해야 한다. 확인서 작성 후 본인 확인 서명을 반드시 받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노희진 한국증권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지금까지는 금융 회사가 검증을 거친 후 상품을 내놓았지만 앞으로는 훨씬 위험도가 높은 상품이 많이 나올 것”이라며 “(투자자들은) 더 꼼꼼히 따져야 한다”고 말했다.
상담도 필요 없고 투자 정보를 들을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는 투자자는 투자정보 확인서 대신 ‘일반투자자 투자정보 작성거부 확인서’를 써야 한다. 나중에 불완전 판매 관련 법적 소송이 진행될 경우 생기는 위험을 판매사가 아닌 투자자 본인이 감수하겠다는 것.
본인의 투자 성향보다 위험도가 높은 상품을 들고 싶다면 역시 결과에 대해 책임을 지겠다는 확인서에 서명하면 된다. 특히 주식이나 장내 채권 등 직접 투자를 원하는 고객도 자신의 투자 성향과 맞지 않을 경우도 마찬가지다. 마지막으로 금융 상품에 대해 설명을 충분히 들었다는 ‘투자자 체크리스트’에 서명을 하면 펀드 가입은 끝난다.
박상준 기자 buttonpr@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