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장ㆍ차관 국정워크숍에서 “긍정의 바이러스를 퍼뜨리라”고 주문했다. “우리가 희망을 이야기하고 실천하면 그 희망이 현실로 다가올 것”이라고도 강조했다. 워크숍에서 정정길 대통령실장이 “불안과 불신, 불만이 가득한 ‘3불 사회’가 되었다”고 한탄했듯 긍정보다는 부정, 희망보다는 실망에 매달리는 세태에 대한 지적이거나 개인적 행복론의 피력이라면 흠잡을 데 없다.
그러나 “성공적 국정 운영에 가장 중요한 게 화합과 소통”이라며 “장ㆍ차관 모두가 홍보대사라고 생각하라”고 말한 것으로 보아 적극적 정책 홍보 지시에 다름 아니다. 국민의 소리에 겸허하게 귀를 기울여 ‘쌍방향 의사소통’에 힘쓰겠다는 다짐 대신 일방통행적 홍보 강화에 집착하는 듯한 모습은 실망스럽다. 지난해 미국산 쇠고기 파동 이후 강조돼 온 국민과의 소통이 무엇이었던가 싶다.
이런 모습은 지난달 30일 SBS TV의 ‘대통령과의 원탁대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에서도 일부 드러났다. 용산참사와 관련한 김석기 경찰청장 내정자의 거취에 대해 이 대통령은 “검찰수사 결과를 지켜보자”는 원칙론에 매달렸다. 법적 책임만이 쟁점이라면 몰라도 도의적 책임이 쟁점이라면 핵심을 피한 말이다. 적잖은 국민이 법적 책임보다 도의적 책임에 관심을 기울이는 현실이 바람직하진 않더라도, 진정한 화합과 소통을 바란다면 이런 관심에 걸맞은 유감 표명 등에 인색할 이유가 없다.
이 대통령의 이런 일방통행 조짐이 최근 자주 듣게 되는 정치적 자신감의 반영이라면 더욱 걱정스럽다. 용산 참사에 대한 여론은 분명히 과거와는 흐름이 다르다. 경제위기의 자연스러운 귀결이든, 정치ㆍ사회의식의 변화 때문이든 국민 인식이 둘로 갈라진 게 현실이다. 여기서 상대적 비난의 강도가 약해졌다는 데 눈길을 빼앗기는 정부라면 저급하다. 바람직한 정부는 오히려 전 정권 시절 싹튼, 모든 문제를 정파적 이해와 연결시키려는 태도가 굳어져 가는 불길한 현상을 읽어야 한다.
취임 2년을 눈앞에 둔 지금 정부가 차분한 성찰의 자세를 잃고서는 경제 살리기를 위한 단합과 화해를 이룰 수 없다.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