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희원 지음/이루ㆍ400쪽ㆍ2만2,000원
이 책을 소화하려면 '대상적 활동'이라는 마르크스 철학의 개념부터 이해해야 한다. 마르크스는 모든 사물은 그 자체로 독립돼 설명되지 않고, 다른 것과의 연관 관계 속에서 파악된다고 본다. 인간도 마찬가지다. 자기 바깥의 세계를 조작해 변화시키고, 그 과정에서 자기도 변화하는 관계를 통해서만 인간은 이해된다. 이 책은 그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인간의 성행위를 분석한 결과다.
저자는 이 책을 쓴 이유를 "넘쳐나는 성 담론 중에서 그 어떤 것도 '성적 존재로서의 나'를 제대로 설명해주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서문에 밝혔다. 저자에 따르면 성행위는 한 개인의 이기적 만족을 위해 상대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다. "성행위는 행위를 통해 자신을 표현할 뿐 아니라, 상대를 이해하고 변화시킨다는 점에서 노동 및 예술 활동과 마찬가지로 철저히 대상적"이라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저자는 대상적 행위로서 성행위를 규명하기 위해 '오르가즘 체험'을 분석한다. 인간의 성적 능력이 제대로 펼쳐졌을 때를 가정하고, 그때의 성감 기제가 움직이는 원리를 밝힘으로써 성행위의 철학적ㆍ미학적 의미를 추출해낸다. 빌헬름 라이히의 오르가즘 이론과 조르주 바타유의 에로티즘 이론이 동원되고, 발전적으로 해체ㆍ수용된다. 그리고 오르가즘 체험이 지닌 인성론적 함의를 구성해 간다.
대상적 활동으로서 성행위를 다루는 저자의 관점은 결국 '성행위는 능력의 문제다'라는 명제로 수렴된다. 오르가즘은 전방위적 자기실현을 위한 자기 인식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르가즘 불능은 생리적 차원에 머무르지 않고, '자기를 표현하고 그럼으로써 자기를 취하는' 저항능력의 부재를 의미한다. 이 부분에서 저자의 성 담론은 저항의 미학으로 연결된다.
내밀한 영역에 감춰져 있던 감각 기제들을 현대 미학의 복잡한 이론을 거푸집 삼아 사출해 낸 결론은, 마르크스의 테제이기도 한 '인간적 감각의 회복'을 향해 간다. 저자는 자신의 고통에 견주어 남의 그것을 감지해 낼 수 있는 것이, 대상적 활동으로서 성행위를 경험해 본 이들의 공통점이라고 강조한다. 반면 성관계를 제대로 못 하는 사람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상대의 고통을 정면으로 뚫어본 경험이 없는 사람일 가능성이 크다. '감각의 기능 장애로서 무감각'을, 저자가 '범죄'라고 규정한 까닭이다.
유상호 기자 shy@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