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준 건국대 교수(생명과학부)가 포함된 한ㆍ미 연구진이 암이 전이되는 비밀을 최초로 밝혀냈다.
건국대는 1일 "김 교수와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샌디에이고)의 마이클 카린 교수, 김선화 박사 등이 참여한 국내외 연구진이 암 세포 내 특정 물질이 체내 면역계의 신호를 교란시켜 암의 전이를 돕는 과정을 밝혀냈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암의 발생과 확장 과정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됐으나, 암 전이과정은 매우 복잡한 단계들이 결합해 있어 정확한 메커니즘은 알려지지 않았다는 것이 학계의 통설이었다.
연구진은 폐암세포가 만들어낸 특정 단백질이 면역성 세포들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면역성 세포들이 암세포의 전이와 성장을 유도하는 과정을 제시했다. 이 연구결과는 1일자 국제과학저널인 '네이처(Nature)'에 게재됐다.
연구결과 성숙한 폐암세포는 '베르시칸(versican)'이라는 단백질을 분비하고 이 단백질이 면역성 세포인 대식세포와 염증 관련 신호 전달 물질인 '톨 유사 수용체 2(TLR2)' 등을 활성화해 골수에서 '종양괴사인자-α(TNF-α)'가 생성되도록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진은 또 골수성 세포에서 생성되는 'TNF-α'는 암세포가 다른 체내 조직으로 옮겨가는 과정을 매개, 그 과정이 TLR2의 신호전달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즉 연구를 통해 폐암 세포 등이 단백질 베르시칸을 분비하는 것을 처음 밝혀냈으며 이 베르시칸이 TLR2를 활성화해 TNF-α 등 염증 관련 인자를 만드는데 작용함으로써 폐암 세포의 전이 및 증식을 촉진한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TNF-α와 TLR2 등의 유전자 기능을 없앤 쥐에 베르시칸을 주입하는 실험을 통해 이 같은 결과를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김영준 교수는 "이 연구는 통상적으로 절개 수술과 방사선 치료 등으로 암 세포를 제거했는데도 다시 재발하거나 전이되는 상황을 일으키는 물질을 최초로 찾았다는 증명"이라며 "연구성과를 토대로 치료 후 재발 또는 전이가 발생하는 비율을 낮출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송태희 기자 bigsmile@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