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은 미디어업계 자체가 뉴스의 중심부에 휘말린 격변의 한 해였다. 이명박 정부 출범과 함께 방송ㆍ통신 융합, 방송계의 코드인사 논란이 들끓었고 결국 MBC 'PD수첩'의 광우병 보도로 미디어업계는 좌ㆍ우 싸움의 격전지로 변했다.
연말에는 대기업과 신문의 방송사업 진출 문호를 넓히는 각종 미디어관계법이 거론되면서 뜨겁게 달아올랐다. 2008년 미디어업계에서 벌어진 8가지 이벤트를 4개의 카테고리로 정리해본다.
■ 방송사 사장이 뭐길래 - 정연주·구본홍… 노사관계 맞물려 '시끌'
2003년 취임, 2006년 11월 연임했다가 지난 8월 이사회의 해임 제청으로 물러난 정연주 전 KBS 사장은 2008년 미디어 분야 최고의'핫 이슈 메이커'였다.
노무현 정권의 낙하산 인사라는 지목을 받으며 KBS 사장 직을 시작한 그는 결국 코드인사에 대한 견제와 감사원의 특별감사, 검찰 소환 등을 이겨내지 못하고 자리를 떠야 했다.
정 전 사장의 해임은 KBS 사원들의 분열과 후임 이병순 사장 취임 후 징계성 인사 파동이라는 여파를 불렀다. 그의 배임 혐의에 대한 검찰 수사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정연주 전 사장의 경우와 완전히 반대되는 입장으로 궁지에 몰린 구본홍 YTN 사장에게도 2008년은 잊을 수 없는 해일 것이다. 노조원들의 사장 반대 투쟁이 5개월여 계속되는 동안 구 사장이 정상적으로 사무실에 출근한 날은 손에 꼽을 정도였다.
노조와의 대치는 방송통신위원회의 YTN 재승인 심사 보류라는 개운치않은 결과의 원인이 됐다. YTN의 세밑 풍경은 여전히 혼란이다. 재승인 심사 보류가 마치 불에 기름을 부은 격으로, 노사 갈등은 쉽게 풀릴 전망이 보이지 않는다.
노조는 "방통위의 방송 장악 시나리오"라 몰아붙이고 사측은 노조가 모든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는 생각을 버리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 시련의 시사 프로그램 - 'PD 수첩' 파문… '시사 투나잇' 등은 폐지
전국을 뒤흔들었던 촛불정국의 시발점이 된 MBC 'PD수첩'의 광우병 보도는 한국언론재단이 최근 언론인 53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올해의 언론계 뉴스 1위로 꼽혔다.
한미FTA 체결이라는 민감한 시기와 맞물려 미국산 쇠고기의 위험성을 보도했던 PD수첩의 파장은 엄청났다. 거리는 촛불을 든 시민들이 채웠고, 언론은 이들을 지지하는 편과 그렇지 않은 편으로 나뉘어 연일 격돌했다. 급기야 농림수산부의 검찰 수사 의뢰로 인해 악화일로로 치닫던 국면은 8월 MBC의 사과방송으로 진정됐다.
시사프로그램의 시련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이병순 KBS 사장이 취임하면서 보수언론을 비판해온 '미디어포커스''시사투나잇'이 가을개편을 통해 사실상 폐지됐다.
사측은 정기 프로그램 개편일 뿐이라고 했지만 현직 PD들과 언론인들은 "보수단체와 여당에 동조하는 새 경영진의 어처구니 없는 편성"이라고 비판했다.
■ TV의 급격한 진화 - IPTV 서비스… 지상파 디지털 전환 본격 채비
10월부터 상용 서비스가 시작된 IPTV는 이명박 정부 출범과 함께 이뤄진 방송ㆍ통신 융합 정책의 결정체다. 방송의 정시성에서 벗어나 수용자 위주의 환경을 만들어준 IPTV는 정부의 전폭적 지원을 받아 특별법 제정 10개월 만에 본궤도에 오르며 서비스를 시작했다.
하지만 지상파 방송의 재전송을 둘러싸고 지역방송, 대형PP(프로그램공급자)들의 이견이 표출되는 등 불협화음이 있었으며 케이블, 위성TV와 차별화된 콘텐츠를 공급할 준비가 부족하다는 지적도 많았다.
12월 초 추진위원회 발족으로 본격 시동이 걸린 지상파 방송의 디지털 전환도 TV의 급격한 진화를 보여주는 단면이다. 2012년으로 시한이 못박힌 아날로그 방송 종료는 흑백TV의 칼라TV 전환 이후 방송 사상 최대의 변화지만 디지털 전환에 소요될 수 조원에 달하는 재원 마련 방안은 여전히 안개 속에 있다.
■ 언론과 자본, 불편한 동거 - 新放 겸영·대기업 방송진출 완화 논란
새 정부 출범 이후 점차 구체화되던 신문ㆍ방송 교차소유, 대기업의 방송진출 법제화가 여당과 방송통신위원회에 의해 뚜렷하게 제 모습을 드러냈다.
방통위는 방송법시행령 개정을 통해 방송에 진출할 수 있는 대기업의 기준을 자산규모 10조원으로 완화한 데 이어, 한나라당은 더 큰 폭으로 대기업에 방송의 문호를 열어주는 방송법 개정안과 신문의 방송 소유를 가능케 하는 신문법 개정안을 내놓았다.
하지만 야당과 시민단체들의 반발은 거세다. 대기업 기준을 크게 완화하는 게"불황에 허덕이는 미디어업계에 자본의 단비를 내려주는 것"이라는 찬성의 목소리에 반해 이들은 "언론이 자본에 좌지우지되는 상황이 벌어진다"며 반대하고 있다. 미디어 환경의 대격변을 예고하는 미디어관계법 개정은 내년에도 빅 이슈로 이어질 전망이다.
양홍주 기자 yanghong@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