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점에서 남은 음식을 '재탕'하지 말자는 캠페인이 서울시 일선 구에서 확산되고 있다. 도봉ㆍ서초구에 이어 12일 강남구가 '남은 음식 재탕 제로'캠페인을 시작했다. 각 구의 아이디어는 다양하다. 도봉구는 '남은 음식 싸주고 싸오기', 음식을 절반만 주고 가격은 절반만 받는 '절반 가격제', 먹을 만큼 덜어 먹는 '공동찬기 사용'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다.
서초구도 비슷한 내용의 'Safe & Clean(안전하고 깨끗한) 음식 실천'캠페인을 시작했다. 정부는 남은 음식을 재탕해 사용하다 3차례 적발된 음식점을 폐쇄하는 내용의 식품위생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이미 지난 달 입법예고한 바 있다.
남은 음식 재탕은 생각만 해도 역겹다. 잘못하면 침을 매개로 전파되는 급성 A형 간염이나 식중독에 감염될 수 있다니 음식 사먹기가 꺼려진다. 행여 외국에 알려져 한국 이미지가 훼손될까 두렵기까지 하다. 손님이 먹다 남긴 음식을 다른 손님에게 내놓는 상혼은 처벌 받아 마땅하다.
그러나 잘못된 식습관이 그런 행위를 유도한 측면은 없는지 한 번쯤 살펴볼 필요가 있다. 재료값과 인건비, 임대료가 올라도 업주들은 반찬 가짓수를 줄이거나 가격 인상을 할 수가 없다. 손님이 뚝 끊기기 때문이다. 반찬을 먹을 만큼 덜어 먹게 하거나, 추가 주문 반찬에 값을 받는 것은 손님의 일반적 정서와 맞지 않는다. 서울에서만 매달 2만 군데의 음식점이 사라지는 상황에서 가격 인상은 폐업을 자초하는 일이다. 그러니 업주들에게 남은 음식 재탕은 '달콤한 유혹'처럼 다가올 것이다.
우리나라의 곡물 자급률은 27.8%에 불과한데 하루 음식물 쓰레기는 8톤 트럭 1,880대분, 연간으로는 68만 여 트럭분이나 된다. 그런데도 젓가락도 못 댄 반찬이 있어야 잘하는 음식점이라 여기고, 음식이 남아야 제대로 대접한 것처럼 생각하는 문화는 여전하다. 20여 년 전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했던 주문식단제는 흐지부지된 지 오래다. 먹으려는 음식만 주문하고, 차려진 음식은 남김 없이 먹고, 먹은 만큼 계산하는 식문화 캠페인을 생각해 볼 때다.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