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내년 1월말까지 국제결제은행(BIS) 기본자기자본 비율을 대폭 높이라고 요구하면서 시중 은행들이 자금 구하기에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BIS 기본자기자본 비율은 은행들의 자기자본 중 실질순자산을 의미하는 '기본자본'(Tier1)만을 빼내 위험가중자산으로 나눈 개념. 은행 건전성을 확인하는 절대적 지표로 불린다. 그 동안 은행들은 후순위채권을 발행하는 등 '보완자본' (Tier2)을 늘리는 편법으로, BIS 자기자본비율을 높여왔다.
금감원이 기본자기자본 비율을 높이라고 한 것은 이처럼 보완자본만 늘리거나, 혹은 위험자산(대출)을 줄여 자기자본비율을 높여온 은행권의 행보에 브레이크를 건 것이다.
금감원이 은행권에 요구한 기본자본 비율 가이드라인은 9%. 산술적으로 앞으로 남은 50여일 동안 12개 시중 은행들이 11조원 이상의 자본을 확충해야 한다.
은행들이 기본 자본을 늘리는 현실적 방법은 ▦유상증자 ▦이익금을 자본금으로 전입 ▦하이브리드 채권(부채와 자기자본의 성격이 혼합된 신종 자본증권) 발행 등 크게 3가지. 이 중 가장 손쉬운 방법은 이익금(배당금)을 자본으로 편입시키는 것이지만 현실적으로 어렵다. 배당일이 코앞인데다 주요 은행들의 외국인 주주 비중이 50%를 넘어, 배당축소시 거센 반발이 우려 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은행들은 유상증자와 하이브리드 채권 발행을 통해 기본자본 확충에 나선다는 복안이다. 현재 국민은행(5,000억원)과 하나은행(9,500억원), 우리은행(7,000억원 내외)은 각각 지주사가 대규모 회사채를 발행해 이 돈을 은행자본금에 투입(증자), 기본자본비율을 높이는 계획을 짜놓은 상태다.
하지만 대규모 유상증자가 계획대로 된다 해도 국민은행을 제외하곤 대부분 은행이 금감원이 제시한 가이드라인(9%)을 맞추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은행으로서는 추가로 유상증자를 하거나 고금리의 하이브리드채권을 발행해야 하는데 꽁꽁 얼어붙은 자금시장에서 1월말까지 대규모 조달을 한다는 것이 쉽지가 않다. 특히 일부 은행의 경우 하이브리드 채권 발행 한도(자기자본의 15%)를 이미 채워 여력이 없는 상태다.
이에 따라 은행들은 자본 확충에 정부의 직접적인 도움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실제 시중 은행장들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기본자본을 늘리는데 은행 자체 노력으로는 한계가 있다는데 의견을 같이하고 ▦하이브리드 채권 발행 한도를 올려주고 ▦채권안정펀드를 통해 인수해줄 것을 제안했다.
손재언 기자 chinason@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