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주단 신청을 승인하거나 탈락시키는 단 하나의 기준도 없는 데, 어느 업체가 선뜻 신청 하겠습니까. 신청이 반려되면 회사는 바로 문을 닫아야 하는데요."
25일 저녁 한 음식점에서 만난 중견 건설사 임원은 '지난 주부터 대주단 가입 문제로 회사 전체가 난리'라며 연신 쓴 소주를 들이켰다. 이 임원의 하소연의 요지는 '대주단 가입을 통해 건설사를 살릴 요량이라면 정부나 금융권이 가입 승인에 대한 확실한 가이드라인(기준)을 밝히라'는 것이었다. 그래야 건설사들도 그 기준에 맞춰 대주단 신청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황은 점점 목을 조여 오는 데도 대주단 신청이 27개사에 그친 근본 이유가 바로 이것이라는 것이다.
사실 현재 대주단 관련해 공식적으로 나와 있는 것이라곤 '1년간 만기 대출 연장 및 신규자금 지원'이 전부다. 이는 일단 대주단 가입 승인을 받은 업체에 대한 지원 혜택일 뿐 정착 핵심인 대주단 가입 기준은 어디에도 없다. 이런 애매모호한 상태에서 대주단 신청을 했다가 탈락됐을 경우 결국 모든 피해는 건설사가 짊어질 수밖에 없다. 그것은 다름 아닌 주가 폭락과 파산이다.
건설업계는 지금 '금융권이 자의적 판단을 하기 위한 것 아니냐'며 불신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대주단이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경우 주채권 은행의 생사여탈 재량권이 줄어 들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요즘 건설업계에서는 '은행이 자사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이 많은 부실업체는 살리고, 백 없고 줄 없는 업체는 퇴출한다'는 소문까지 나돌고 있다.
불확실성보다 더한 악재는 없다. 요즘 같은 위기국면에선 더욱 그렇다. 정부나 금융권이 의지가 있다면 지금이라도 대주단 가입의 명확한 기준을 제시해 불확실성을 거둬내야 한다. 이제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송영웅 경제부 차장 herosong@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