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한국산업, 활로 찾아라] <2부> 길은 있다 (6) 철강-신성장동력이 관건이다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한국산업, 활로 찾아라] <2부> 길은 있다 (6) 철강-신성장동력이 관건이다

입력
2008.11.21 03:07
0 0

친환경 공법·글로벌 벨트… 다시 타오르는 철강 신화 '활·활·활… '해외 제철소 건설로 일관생산체제 구축비철강·신재생 에너지 개발로 경쟁력 키워

"세계 철강산업은 이제 단절의 시대에서 벗어나 새로운 성장 시대로 접어들었다."(2007년 6월19일 미국 철강전문분석기관 월드스틸다이내믹스 피터마커스 대표)

"세계 철강산업이 직면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원료확보, 과잉생산, 환경보호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세계 철강사들이 함께 노력해야 한다."(올해 10월6일 포스코 이구택 회장)

세계 철강산업의 변화는 국내 철강업계에 새로운 도전을 안겨주고 있다. 국내 철강산업의 전체적인 경쟁력은 일본,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 다소 떨어지고 중국보다는 우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물론 경쟁력 격차가 빠르게 좁혀지고 있는 중국도 안심할 상대는 결코 아니다. 이런 상황에서 신(新)성장동력 육성은 국내 철강산업의 미래 경쟁력 확보에 핵심 요소다.

국내 업체들은 경쟁력을 갖춘 미래 먹거리를 찾기 위해 기존 철강 분야의 혁신기술 개발과 해외 인수ㆍ합병(M&A), 일관제철소 건설 등은 물론, 비철강 부문과 신재생에너지 개발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 해외에서 신성장동력 찾는다

포스코의 당면 최대 목표는 세계화다. 포스코는 내년에 6조원 가량을 투자해 국내(3,500만톤)와 해외(1,500만톤)에서 총 5,000만톤의 생산능력을 갖춘다는 계획이다. 인도에 연산 1,200만톤 규모의 일관제철소 건설 계획을 확정한 것도 글로벌화 전략의 일환이다.

포스코는 최근 부지 선정 문제로 어려움이 있긴 하지만, 동남아시아의 중심인 베트남에도 일관제철소를 건설하기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앞서 포스코는 중국 장쑤성 장가항에 연산 80만톤 규모의 스테인리스 일관제철소를 건설했다. 이를 통해 포항ㆍ광양ㆍ중국ㆍ인도ㆍ베트남으로 이어지는 아시아 철강벨트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동국제강 또한 일본~브라질을 잇는 철강벨트를 구축해 글로벌 철강사로 도약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세계 최대 철강원료 공급사인 브라질 발레사와 합작으로 철광석을 직접 녹여 쇳물을 만들 수 있는 연산 600만톤 규모의 제철소 건설을 추진 중이다. 이 사업이 계획대로 진행되면 원재료에서 시작해 후판으로 이어지는 글로벌 일관생산체제가 완성되는 셈이다.

■ 신기술 확보로 미래성장 달린다

포스코는 파이넥스 상용화를 통한 신기술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다. 파이넥스는 수백 년간 사용된 기존 용광로 제철공법을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친환경 공법이다. 포스코는 또 에너지, E&C(설계 및 시공) 등 기존 출자사업을 집중 육성하는 한편, 신수종사업도 적극 발굴하고 있다. 이를 통해 2018년 비철강 부문 매출액(연결기준)을 30조원까지 늘리기로 했다.

동부제철은 세계 1위에 오를 수 있는 품목으로 전기로 제철사업을 선정했다. 이를 위해 기존 충남 아산만 부지에 건설 중인 연간 300만톤 규모의 열연강판 생산 공장을 내년 7월부터 가동한다.

또 만성적인 공급 부족에 시달리는 후판 분야의 신시장 확보를 위해 약 8,500억원을 투자, 내년 11월 완공을 목표로 충남 당진에 연간 150만톤 규모의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현대제철도 충남 당진에 일관제철소를 건설 중이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총 5조8,400억원이 투입된 연산 800만톤 규모의 일관제철소가 완공되면 총 조강생산량 1,850만톤의 세계 10위권 글로벌 철강업체로 변신하게 된다"고 전했다.

포스코 경영연구소 철강연구센터 탁승문 센터장은 "국내 철강사들이 글로벌 경쟁에서 승리하려면 해외 제철소 건설과 원료 확보를 위한 투자를 통해 철강산업의 글로벌화를 꾀해야 한다"며 "에너지 등 관련 산업으로의 투자를 통해 신성장동력을 적극 개발, 경쟁력을 높여가는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체계적 지원으로 저탄소 시대 대비해야"

● 정부에 바란다

국내 철강업계는 친환경 체제로 빠르게 재편되는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계속 유지하려면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연구개발(R&D) 및 세제 등에 있어서 경제성 확보를 위한 다양한 지원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특히 친환경 에너지 산업을 이명박 정부가 표방한 녹색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도 정부 지원은 필수적이다.

이미 글로벌 경쟁사들은 2005년 교토의정서 발효 이후 정부와 힘을 합쳐 저탄소, 친환경 체제에 적응하기 위한 대책 마련을 서두르고 있다.

미국의 경우 2006년부터 시행한 '기후변화 기술 프로그램'에 따라 친환경 에너지산업 분야에 18개 기술ㆍ세금 인센티브를 제공 중이다.

EU는 2007년 '전략적 에너지 기술 계획'의 실행으로 14개 분야에 기술과 재정을 지원하고 있다. 일본도 올해 '혁신적 에너지 기술 프로그램'을 도입, 21개 혁신기술과 보조금지급을 병행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올해 9월에야 지식경제부 산하 신성장동력기획단이 신성장동력 22개 사업을 선정하는 등 이제 막 걸음마 단계이다.

'오바마 임팩트'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통상 마찰이 발생하면 매출과 수익 창출에 큰 타격이 예상되는 만큼, 정부가 이를 대비한 통상 및 산업정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당장 피해가 오지는 않겠지만, 1∼2년 뒤에는 가시적인 보호무역 조치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며 "정부가 시급히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인호기자

"신기원 파이넥스 공법, 상용화에 수출도 추진"

권오준 포스코 기술연구소장

"신(新)성장동력을 멀리에서 찾을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기존 분야에서 남들이 생각하지 못한 최고 품질의 제품을 만드는 것도 1등 기업으로 나아가는 길 아니겠습니까."

권오준(사진) 포스코 기술연구소장은 미래 먹거리 확보를 위한 최우선 과제로 '혁신 기술'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중국 철강업계의 성장, 아르셀로 미탈 등 초대형 철강사의 등장, 일본 철강사의 경쟁력 부활 등 경영환경이 급변하는 만큼, 혁신 기술이 신성장동력 확보의 필수 조건이라는 지적이다.

세계 철강산업은 이미 양적으론 큰 성장을 이룩했다. 중국의 경우 보산강철이 2012년까지 세계 2위 철강사(연산 8,000만톤)를 목표로 하는 등 전체적으로 생산량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반면, 글로벌 금융위기와 경기침체로 철강 수요는 급감하는 추세다.

권 소장은 "후발업체의 기술 추격에 대비하고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8대 중장기 기술개발 전략을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대표적으로 ▲강도가 매우 높으면서도 가공하기 좋은 자동차용 'Giga급 초강도강판' ▲유전 개발에 사용되는 '고인성(高忍性ㆍ극한 상황에서 잘 견디는 성질) 파이프용 강재' ▲고강도이면서 용접을 쉽게 할 수 있는 'TMCP 후판재' 등이다.

포스코는 이를 위해 기술개발을 위한 전략적 제휴를 강화하고 있다. 이미 전세계 22개국의 131개 대학ㆍ연구소 등과 협력관계를 구축해 기초연구 및 응용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새로운 성장을 이끌고 갈 블루오션 개발에도 중점을 두고 있다. 기존 철강 분야에선 100년 고로(용광로) 역사를 대체한 파이넥스 공법으로 이미 상용화는 물론, 수출까지 검토하고 있다. 아울러 올해 9월 포항에 설립한 세계 최대의 발전용 연료전지 공장은 에너지 분야 확대의 첫 걸음이다. 박기수기자

박기수기자 blessyou@hk.co.kr

유인호기자 yih@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