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어제 라디오 연설에서 정치권과 금융계, 언론계의 경제위기 극복 협력을 호소했다. "불이 났을 때는 하던 싸움도 멈추고 모두 함께 물을 퍼 날라야 하며, 단합이냐 분열이냐에 따라 결과가 완전히 달라진다"는 게 골자다. 지금쯤 대통령의 입에서 당연히 나올 만한 말이다. 그러나 민주당은 "야당 탓, 국민 탓만 되풀이한 실효성 없는 연설"이라고 일축했다. 국회가 앞으로도 구체적 경제 살리기 방법론을 둘러싼 지혜 대결보다는 정치적 이해 고려에 따른 정쟁의 장이 될 것임을 확인한 셈이다.
얼마 전 현정택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의 '쓴 소리'도 다르지 않았다. 그는 "요즘과 같은 중요한 시기에 여야가 정치쟁점에 얽매여 금융위기 타개책을 제대로 논의하지 못한다면 문제"라며 "한국과 미국의 가장 큰 차이는 초당적, 초계파적 협력이 가능한지 여부"라고 짚었다. 한국의 정책 결정과정이 제대로 굴러가고 있음을 국내외 투자자에게 보여주는 것은 300억 달러 규모의 한미 통화 스와프 협정 체결 이상의 심리적 안정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지적은 커다란 반향을 불렀다.
그런데도 왜 민주당을 비롯한 야당은 소극적 자세일까. 혹시라도 김민석 민주당 최고위원이나 문국현 창조한국당 대표 등의 불법자금 수수혐의 수사를 염두에 둔 것이라면 시대착오의 극치다. 대통령과 정부가 검찰을 주무를 수 있다는 발상 자체가 구태의연하고, 느리지만 자리를 잡아가는 검찰의 독립성이라는 지향점을 정면으로 부인하는 자세다.
정부ㆍ여당의 정책이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지난해 대선과 올 총선을 통해 확인된 국민의 뜻을 어느 정도 존중할 줄 알아야 한다. 기대 이하의 정국 운영에도 불구하고 거대여당의 지지도는 조금씩 오르는 반면 민주당을 포함한 야당 지지도가 제자리걸음하는 현실을 직시할 때가 됐다. 민주당 원로의원 모임에서도 "선거 참패에 대한 평가와 반성이 없다"거나 김민석 최고위원 문제나 강만수 장관의 '헌재 접촉' 실언에 대한 대응에 의문을 표하는 소리가 나왔다. 때로는 야당도 결단하는 모습을 보여주어야 한다.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