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세주의, 인생주의, 허무주의.
한국인은 무엇으로 사는가, 하는 질문에 대한 철학자 탁석산(50ㆍ사진)씨의 답이다. 개항 후 한국의 100년을 지배해 온, 탁씨가 한국인의 '생활철학'으로 지목한 세 가지다. 이 질문을 제목으로 딴 그의 새 책 <한국인은 무엇으로 사는가> (창비 발행)가 출간됐다. '한국적'이라는 타이틀의 권위를 허물어뜨렸던 전작 <한국인의 정체성> (2000)처럼 이 책도 단정적이고 도발적이다. 한국인의> 한국인은>
"한국이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조선의 전통과 완전히 단절했기 때문입니다. 요즘 지식인들 사이에서 조선의 선비에 대한 향수가 이는데, 조선의 패러다임인 주자학과 현대 한국인 패러다임 사이에는 어떤 연결고리도 남아 있지 않습니다."
그는 서양의 철학을 무분별하게 베끼는 것 못지않게, 고유의 것에 집착하는 것도 옳지 않은 것이라고 한다. "한국은 이미 서양과 조선을 뛰어넘고 새로운 시기를 100년 이상 살았다"며 "지식인 사회가 조선이라는 벽에 걸려 넘어져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정치, 종교, 철학이 일치된 조선 주자학과 결별한 뒤에 '개인'의 공간이 탄생했고, 그 공간에 깃든 한국인의 철학과 정신이 현세주의, 인생주의, 허무주의라는 것이다.
"종파를 초월한 기복신앙이 현세주의의 특성을 잘 보여줍니다. 또 '어차피 한 번뿐인 인생, 즐기자'라는 태도는 인생주의를 보여주죠. 적극적으로 감각적인 즐거움을 원하는 것, 그것이 한국인 특유의 역동성과 야성성을 낳았습니다."
여기까지는 그다지 새로운 이야기가 아니다. 이 책에서 주목할 부분은 허무주의를 한국인의 철학으로 내세운 것, 그리고 그것을 긍정하는 그의 논지다.
"한국인의 허무주의는 서양의 니힐리즘과 다릅니다. '인생 뭐 있나. 다 그런 거지'하는 태도가 절망으로 연결되는 게 아니라, 어려운 시간을 견디는 방어수단 혹은 '보험'으로 작용합니다. '지치고 힘들어 어쩔 수 없다'는 마음이 결국 '어쩌겠냐, 열심히 살아야지'로 이어져요. 이게 현대 한국인의 철학입니다. 건강한 허무주의죠."
유상호 기자 shy@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