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가 실물경제로 빠르게 전염되면서 기업들이 '혹독한 겨울'을 나야 할 절체절명의 위기를 맞고 있다. 자동차 철강 석유화학 반도체 등 주력 업종이 글로벌 경기침체의 직격탄을 맞아 감산 감원, 사업 매각 등을 통한 살아남기 전쟁이 시작됐다. 전ㆍ후방 연관효과가 가장 큰 자동차업계의 경우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당선자의 시장 개방 압력이 구체화하는 와중에 판매 부진으로 야적장에 차를 가득 쌓아놓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물경제에 빨간 불이 켜지면서 시중에 돈이 돌지 않는 현상은 좀처럼 풀리지 않고 있다. 은행들은 외화 차입에 대한 정부의 지급 보증으로 한숨 돌렸지만 부실여신과 연체율 증가로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뚝 떨어지면서 신규대출을 거의 중단한 채 대출금 상환을 요구하며 기업들을 옥죄고 있다. 정부가 아무리 대출을 늘리라고 해도 자기 코가 석 자인 은행권의 가혹한 여신 관리로 인해 한계선 상에 몰린 중소기업은 물론 멀쩡한 기업들까지 흑자도산 위험에 노출돼 있는 것이다.
당정이 일시적 유동성 위기에 몰린 기업에 대해 선제적 구제금융을 제공하는 '프리 워크아웃(Pre-Workout)' 방안을 마련키로 한 것은 시의적절하다. 이를 신속히 적용할 경우 신용경색으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과 은행의 동반부실을 차단하고, 사후에 공적자금 투입규모도 줄일 수 있다. 환란 후 도입된 워크아웃이 부도 기업을 대상으로 한 회생프로그램이었다면, 프리 워크아웃은 유동성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에 대한 선제적 지원을 통해 정상화시킨다는 점에서 더욱 효율적이다.
문제는 실천이다. 제도가 아무리 좋아도 조속히 실행되지 않으면 소용없다. 건설업체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대주단(貸主團)과 패스트 트랙제도가 도입됐지만, 현장에선 은행들의 돈줄 죄기가 여전하다며 아우성이다. 정부는 은행이 자발적으로 지원에 나서도록 자금공급 확대 등 제반 여건을 조성해 줘야 한다. 은행도 자본 확충을 통해 건전성을 유지하면서도, 회생 가능한 기업에 대한 신속한 지원으로 기업과 동반상생하는 길을 걸어야 한다.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