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자동차산업에 내우외환의 시름이 깊다. 내수는 줄었고, 미국의 압박과 규제는 커졌다. 세계 경제의 장기침체 조짐과 오바마 대통령 당선자의 '미국 자동차산업의 회생' 선언으로 수출에까지 먹구름이 잔뜩 끼었다.
자동차업계로서는 구조조정이라는 '비상수단'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 조직 슬림화, 비용 절약, 생산 감소에 따른 감원 고통이 사실상 시작됐다. 쌍용자동차는 최근 공장부지를 팔고 유급휴직과 희망퇴직을 받고 있으며, 현대ㆍ기아자동차도 살 빼기에 나섰다. 현대모비스와 현대오토넷의 합병으로 기술개발의 중복을 없애면서 인력도 줄이기로 했다. 중국 미국 등 해외공장의 가동도 줄여 올 하반기에만 10만 대나 감산하기로 했다.
적극적 대처를 통한 생존전략도 함께 세우고 있다. 현대ㆍ기아차는 불황으로 고급 대형차보다는 소형차가 많이 팔리는 세계적 흐름에 맞춰 생산 차종을 탄력적으로 조절하거나, 한 라인에서 여러 차종을 생산하는 '혼류생산 시스템을 갖추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위기에 따른 변화와 대응에는 희생과 고통이 따르기 마련이다. 위기 극복의 열쇠 역시 노사가 그것을 얼마나 슬기롭게 극복하느냐에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의 자동차 노사관계를 보면 걱정스럽다. 위기가 닥칠수록 대립의 각을 더욱 날카롭게 세우곤 했다. 사측은 해고의 칼부터 일방적으로 휘두르려 했고, 노조는 함께 일하는 비정규직을 외면하곤 했다.
도요타나 혼다 등 일본 자동차 기업들이 이미 갖춘 혼류생산 체제를 현대ㆍ기아차가 아직도 도입하지 못한 이유도 노조와의 협약 때문이다. 특정 차종의 생산 공장이 바뀌었는데도 해당 근로자를 몇 년째 배치하지 못하는 일까지 있다.
각국이 사활을 걸고 벌이는, 특히 미국이 총공세에 나선 자동차전쟁에서 이제 후진적 노사대립과 이기주의, 경직된 생산협약으로는 살아 남기가 어렵다. 노사협력과 유연성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양보를 통해 고용불안을 최소화하는 게 중요하다. 위기를 더 큰 위기와 불안으로 만드는 것도, 새로운 도약의 기회로 만드는 것도 노사 자신이다.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