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가 이끌 '새로운 미국'의 행보를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변화'를 앞세운 오바마와 민주당은 공화당의 보수주의에서 진보 쪽으로 성큼 옮겨가 정치 경제 사회적 지평을 바꿀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대외적으로 어떤 모습을 보일지는 분명치 않다. 오만한 일방주의를 버리고 다자주의와 협력을 추구한다지만, 복잡한 이해가 얽힌 대외정책 행보를 전망하기 쉽지 않다. 오바마의 승리를 반긴 외부세계가 이내 고민에 빠진 이유다. 우리도 예외일 수 없다.
오바마의 대외정책은 "미국은 더 이상 초강대국이 아니다"는 인식이 바탕이라고 한다. "세계를 이끌 수 있으나 지배할 수는 없다"는 각성이다. 공화당 네오콘 세력의 '미국 예외주의' 특권 의식과는 달리 세계를 향해 열린 자세를 갖고 있다는 평가다. "우방뿐 아니라 적과의 대화"를 천명한 것도 그 일환이다.
그러나 유럽 등의 객관적 시각은 오바마의 최우선 목표를 '미국의 위상 회복'으로 규정하고 있다. 해외개입 실패와 금융 파탄 등으로 실추된 국가 위상과 이미지의 회복은 가장 시급하고 중대한 과제다. 따라서 이라크 전쟁 종식과 관타나모 테러용의자 수용소 폐쇄 등을 통해 정당성, 도덕성을 되찾는 데 먼저 힘쓸 것이다.
또 이란 북한 등의 핵 문제 해결을 위해 '선제 외교'에 나설 공산이 크다. 세계무역질서 재편과 기후변화 대책 등의 지구적 과제를 둘러싼 국제협상에도 과거와 달리 주도적으로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대외정책의 전환, 전통 외교로의 복귀는 특히 우방이 바란 것이다. 그러나 이는 부시 때와 달리 비판, 반대할 여지가 줄어드는 것을 뜻한다. 반면 국제금융질서 재편 등에서 우방의 협력을 요구할 명분은 커지게 된다. 오바마는 안에서는 이념을 좇지만, 밖으로는 실용을 추구할 것이다. 그것이 '미국 헤게모니'와 '팍스 아메리카'의 퇴조에 대응하는 국가 전략이라는 평가다.
오바마와 이념 노선 따위가 얼마나 같고 다른지 다툴 일이 아니다. 국익과 실용을 좇는 냉철한 국가전략을 고민할 때다.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