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가 30일 검토해 발표한 한국 근ㆍ현대사 교과서 6종에 대한 수정권고안의 핵심은 한마디로 역사의 객관성과 균형성 회복이다. 지난 정권이 의도적으로 누락하고, 지나치게 왜곡하거나 폄하한 부분만은 바로잡겠다는 것이다. 일부에서 우려한 '일방적 극우 편향' 의도는 없어 보인다.
수정권고안을 내면서 교과부는 헌법정신에 입각한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저해하고,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자긍심을 훼손하는 서술은 안 된다는 큰 원칙을 세웠다. 역사가 청소년들의 가치관 형성과 현실인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필요한 일이다.
검토대상이 된 253개 항목 중 집필진이 차제 수정안을 마련한 것만 102건이나 된다. 그만큼 집필자들 스스로도 그 동안 지나치게 한 가지 잣대로 역사를 서술했거나, 역사인식이 부족한 고교생들의 수준에 맞지 않는 내용들이 많았음을 인정한다는 얘기다.
교과부가 수정권고를 내린 55건도 그렇다. 8ㆍ15광복과 연합군의 승리를 부정적으로 보고, 분단의 책임을 대한민국에게 전가하고, 대한민국을 민족정신의 토대가 없는 국가로 정의하면서 상대적으로 북한은 '민주개혁'의 이름 아래 식민지배를 청산한 정권으로 미화한 부분들을 고치라는 것이다.
교과부가 제시한 검토의견을 보면 그렇다고 완전히 뒤집어 또 다른 역사 왜곡을 하자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일방적인 시각과 해석이나 오해의 소지가 있는 서술은 고치자는 것이다. 이를 놓고 집필자들이 자신들의 역사관만을 고집하며 거부할 이유는 없다. 좌니 우니 하면서 이념논쟁을 벌이거나 정치적 의도로 해석하는 것도 바람직스럽지 않다. 오직 그 책을 보고 우리의 역사를 배울 아이들만 생각해야 한다.
<역사를 위한 변명> 을 쓴 프랑스의 역사가 마르크 블로흐는 역사란 과거 '사건'의 단순한 기록이 아니라 그것을 평가하고 재구성함으로써 바로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를 예견하는 것이라 했다. 아이들에게 올바른 역사를 가르치고, 오늘을 사는 우리가 감정에 치우쳐 역사를 함부로 재단하지 말아야 할 중요한 이유이다. 역사를>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