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고양시에 한류우드를 건설하겠다고 밝힌 것은 2005년 2월. 그때까지도 동남아시아 지역에 거세게 불고 있던 한류열풍에 힘입어 거대한 한국 대중문화 단지를 만들겠다는 야심찬 계획이었다. 한류우드에는 정치적 전략도 숨어 있었다. 대권을 꿈꾸고 있던 당시 손학규 경기지사는 초조했다. 좀처럼 인지도나 지지율이 오르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로서는 ‘청계천 프로젝트’로 주가를 높이고 있는 한나라당의 가장 강력한 대권 경쟁자인 이명박 당시 서울시장에 맞설 무엇이 절실히 필요했다. 영어마을과 함께 한류우드는 그렇게 시작됐다.
▦ 이름부터 논란거리였다. 할리우드를 모방해 ‘한류’에다 ‘우드’를 붙인 것도 문제지만, 내용과 성격에도 이름이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미국 영화산업의 메카인 할리우드와 달리 한류우드는 컨텐츠 생산은 물론 관광까지 아우르는 곳으로, 외국인들의 한류상품 소비까지 한 자리에서 이뤄지는 것을 목표로 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시작부터 삐걱거렸다. 사업자 선정, 부지매입 문제로 2년을 끌고 나서야 겨우 첫 삽을 떴다. 테마파크는 착공했지만 EBS 통합사옥, 디지털 통합제작센터가 들어서기로 한 곳은 아직도 기반 공사 중이다.
▦ 한류우드는 규모가 엄청나다. 99만4,756㎥(30만평)을 세 구역으로 나눠 2014년까지 테마파크와 상업시설, 관광호텔과 미디어센터 등을 조성한다. 핵심인 ‘한류’는 테마파크에서 다양하게 녹여낸다는 것이다. 총사업비는 5조9,000억원으로 경기도가 부지 매각자금을 투입해 도로 등 공공부문을 맡고, 나머지는 11개 민간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개발하고 있다. 경기도는 한류우드를 통해 문화산업 육성과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노린다. 공시기간에 14조원의 경제효과, 완공 후에는 매년 600만 명이 올 것으로 예상한다.
▦ 한류붐을 타고 일본 관광객이 35%나 증가한 3년 전만 해도 이런 ‘장밋빛 꿈’은 얼마든지 현실성이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다. 2006년부터 한류가 급격히 식기 시작하면서 영화의 경우 수출이 70% 가까이 급락했다. 한류 바람을 타고 그 현장을 보러 오던 관광객도 40%나 줄었다. 중국 칭화(淸華)대 판홍 교수의 “한류는 일시적이고 아주 얕은 물”이라는 분석을 귀담아 듣지 않고 안이하게 열매만 따먹으려 한 탓이다. 한류우드 역시 그렇게 출발한 점이 없지 않다. 그래서 특혜 시비를 떠나 미래가 불안하고, 고민도 많아 보인다.
이대현 논설위원 leedh@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