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통신정책과 고객들의 달라진 통신 이용 행태가 가계 통신비가 증가하는 주요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2일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이덕희 한국정보통신대 교수는 최근 연구원이 주최한 '서비스 지출구조와 성장효과 세미나'에서 '통신비 지출구조의 변화와 원인' 주제 발표를 통해 가계 통신비의 증가 요인은 요금이 아닌 정부의 경쟁촉진 정책, 고객들의 통신 이용 행태 변화라고 지적했다. 정부가 사업자 수를 늘리는 경쟁촉진 정책을 펴면서 통신요금이 계속 내렸고, 소득 수준이 늘어난 이용자들은 요금 인하에 힘입어 유선전화 외에 휴대폰, 인터넷 등 통신서비스 사용량이 급증했다는 분석이다.
특히 과거에는 단순 음성통화 위주였던 통신서비스가 인터넷의 발달로 전자상거래, 검색 등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는 수단으로 떠오르면서 쓰임새가 급속도로 넓어졌다. 이 교수는 "도서 구입 등 과거 실생활에서 일어나던 경제활동이 온라인으로 옮겨가면서 통신비 지출이 늘었다"며 "통신비 증가는 단순히 비싼 요금 때문이 아니라 이용자들이 온라인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발생한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이 교수는 통신비를 낮춰도 곧바로 이용자들의 통신비 지출이 줄어들기는 힘들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국내 통신요금이 계속 내렸는데도 불구하고 가계 통신비 지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했다는 점은 그만큼 통신 사용량이 많다는 뜻"이라며 "인터넷이나 이동통신 이용료를 낮추면 오히려 더 많이 쓰게 되는 효과가 생길 수 있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그는 "가계 지출에서 통신비 비중이 높은 것은 정보화 진척 효과로 해석할 수 있다"며 "꼭 부정적 요인만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최연진 기자 wolfpack@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