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대 대공황 이후 최악의 금융위기를 맞아 세계 각국 정부들이 잇따라 대책을 내놓고 있다.
게이르 하이데 아이슬란드 총리는 16일(현지시간)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공식 신청할 것인지 여부를 여전히 검토 중이며 1주일 내로 결론이 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러시아와의 자금지원 협상도 조만간 재개될 것이며, 외화보유고를 늘리기 위해서라면 어떠한 대출도 환영한다"고 그는 덧붙였다. 아이슬란드 3위 은행 글리트니르는 "IMF 구제금융에는 조건이 따라붙지만 아이슬란드에 부과되는 조건은 브라질이나 아르헨티나 등 과거 IMF 지원을 받았던 신흥경제국과는 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같은 날 아르헨티나 정부는 시티뱅크와 도이치방크, 바클레이즈 등 3개 해외은행과 재협상, 연간 채무상환액이 향후 3년간 18억~25억달러 수준까지 줄어들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재협상된 금리는 공개하지 않았다. 2001년 경제위기를 맞았던 아르헨티나는 여전히 국내총생산(GDP)의 56%에 달하는 1,500억달러의 국가채무를 안고 있으며 향후 2년간 400억달러를 갚아야 할 형편이다.
독일 연방정부는 이날 16개 주정부와 신용경색으로 위기에 몰린 은행들을 구제하기 위해 최대 5,000억유로를 투입, 은행간 대출을 보증하고 정부 펀드를 설립해 은행산업을 부분 국유화하는 방안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독일 상원과 하원은 17일 이 같은 방안을 담은 금융시장안정 법안을 승인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중앙은행격인 사우디통화청(SAMA)은 16일 국내은행의 유동성 및 예금을 보증하며 필요할 경우 지급준비율이나 융자비용을 인하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국내 경제의 활황과 사우디 은행의 견실함에 비춰볼 때 이번 금융위기가 사우디 경제에 미칠 충격은 '제한된' 수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중국도 금융위기 대책 마련 움직임에 동참하고 있다. 이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 국가발전개혁위원회의 두잉(杜鷹) 부주임은 언론 브리핑을 통해 상하이(上海), 장수(江蘇)성, 저장(浙江)성 등 동부 해안지역의 수출과 생산이 둔화하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중앙정부가 금융위기의 영향에 대응하기 위한 일련의 조치들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두 부주임은 "국무원은 (금융위기를 극복할) 일련의 조치들을 연구하고 있으며 그것들을 발표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홍콩 금융가의 이코노미스트들은 중국 정부가 내수를 진작시키고 공공지출을 늘리는 한편 유동성 공급을 늘리는 정책들이 포함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문준모 기자 moonjm@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