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실물경기 위기의 최대 뇌관인 주택ㆍ부동산 시장에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미분양 증가와 개발사업 지연 등으로 유동성이 묶인 건설업계는 '돈맥경화'의 골이 깊어 가고 있으며, 자금줄이 바닥난 업체들은 하나 둘 벼랑 끝 부도 위기로 내몰리고 있다.
■ 부실 대출 우려
가계가 빌린 주택담보대출 규모는 8월말 현재 307조5,000억원, 건설업체가 개발사업을 담보로 금융권에 빌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규모는 6월말 현재 73조745억원에 이른다.
가계 금리 부담과 가처분소득 감소, 집값 하락 등으로 주택을 담보로 한 대출이 금융권 부실 채권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유동성 악화로 건설사 자금흐름이 악화하면서 PF 연체율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저축은행의 경우 PF 연체율은 지난해말 11.6%에서 올 6월말 14.3%로 증가했으며, 여신사와 국내은행, 증권사의 연체율도 같은 기간 1.3%에서 4.2%, 0.48%에서 0.68%, 4.57%에서 6.57%로 각각 늘었다.
한국은행이 최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려 건설업계의 이자 부담 감소가 기대되고 있지만 PF 연체율이 따라 내려갈 지는 미지수다.
■ 말라가는 돈줄
건설사가 자금을 융통할 수 있는 회사채 발행은 9월 이후 거의 중단되다시피 했다. 우량 건설사도 예외는 아니다. 개인은 물론, 금융 투자기관들도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면서 리스크가 높은 건설업체의 채권 매입을 꺼리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발 금융위기의 진원지가 서프프라임모기지(비우량주택담보대출), 즉 주택시장이라는 점도 건설사로 유입되는 돈줄을 가로막는 원인이 되고 있다.
공모회사채 발행 및 만기금액을 살펴보면 9월과 10월 중순 현재 순발행금액은 각각 마이너스 745억원과 마이너스 500억원을 기록중이다. 순발행금액이 마이너스라는 것은 회사채 발행금액보다 회사채 만기금액이 더 많다는 것으로, 빌리는 돈 보다 갚아야 할 돈이 많다는 뜻이다.
■ 늘어나는 미분양
국토해양부가 집계한 7월말 현재 전국의 미분양은 사상 최고치인 16만595가구. IMF외환위기가 한창이던 1998년 7월(11만6,433가구)이나 1995년 10월(15만9,471가구)과 비교해도 많은 수준이다.
하지만 제대로 신고되지 않은 미분양 물량까지 합하면 실제 미분양은 25만 가구가 훨씬 넘어설 것으로 추산된다. 미분양 1채 당 2억원씩만 감안해도 50조원이 미분양에 묶인 셈이다.
최근 미분양 사태는 대형 건설업체의 수도권 사업지도 피해가지 못하고 있다. 상위 10위 건설사들도 대부분 업체 당 수천 가구씩의 미분양을 안고 있다. 회사별로 적게는 2,000억~3,000억원에서 많게는 1조원에 육박하는 자금이 미분양에 발목이 잡혀 돌지 않고 있다.
■ 부도 위기에 내몰리는 건설업계
잘 나가던 중견건설업체인 W사는 10월초 가까스로 부도 위기를 넘겼다. 530억원의 만기 어음중 250억원 가량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부랴부랴 지방의 주택사업 부지를 한 중견기업에 매각키로 하고 받은 돈으로 부도 위기를 넘겼다.
유동성 악화로 이미 부도를 맞았거나 부도 위기에 내몰린 건설사들도 늘고 있다. 지난 8월말 현재 부도가 난 일반건설업체는 251개사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7% 늘었다. 전문건설업체의 부도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9% 증가한 171개사로 크게 늘었다.
대한건설협회 관계자는 "지방 건설사에서 수도권 건설사로, 중소 건설업체에서 중견 건설업체로까지 부도가 확산되고 있다는 점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며 "시장 침체가 전방위적으로 번지고 있다고 보여지는 만큼 업계 회생을 도모할 수 있는 정부의 시의적절한 구제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전태훤 기자 besame@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