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의 배타주의로 인해 국내 불교계와 기독교계의 대립이 매우 위험한 수위에 도달해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국내 대표적인 종교학자들은 지난달 30일 서울 종로5가 기독교회관에서 '한국기독교의 배타주의-근원과 현상'을 주제로 감신대 기독교통합학문연구소, 성공회대 신학연구원, 한신대 학술원 신학연구소가 주최한 공동학술대회에서 기독교의 배타성과 '장로 대통령'의 출현으로 종교갈등이 현실화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길희성 서강대 명예교수는 '한국 기독교의 배타성은 어디서 오나?'란 주제발표를 통해 "우리 사회는 종교갈등으로 인한 심각한 사회분열은 없었으나 '장로 대통령' 이명박 정권 출범과 더불어 위협을 받고 있다"면서 "최근 불교계의 집단적 행보는 이러한 달라진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최근 들어 공과 사를 가리지 못하는 일부 개신교 공직자들의 몰지각한 종교활동은 민주사회의 기본질서에 반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 기독교의 배타성은 유일신 신앙이라는 근본 성격에다 미국 근본주의 신앙의 문자주의적 성서 이해와 대속신앙이 더해지면서 강화되었다"며 "타 종교에도 하나님의 계시가 있고 구원의 진리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 한 배타성은 결코 해결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숙진 성공회대 초빙교수는 한국교회사에 나타난 기독교 배타주의를 분석했다. 초창기에 전통 문화와 종교를 '미신'과 '우상'으로 비판하는 것으로 시작한 한국 기독교는 6ㆍ25를 계기로 전쟁 피해자가 월남 기독교인들이라는 기억으로 반공이데올로기를 증폭시켰고, '햇볕정책' 이후 배타주의적 냉전 이데올로기를 다시 강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유승무 중앙승가대 교수는 종교사회학적 관점에서 "기독교 근본주의가 기독교 권력을 매개로 타 종교에 대한 일방주의적 배타적 태도로 나타나고 있다"면서 그 사회적 결과는 종교간 갈등과 그로 인한 사회갈등의 심화라고 지적했다.
유 교수는 특히 한국 기독교는 세계에서 유례를 볼 수 없을 만큼 급속히 성장해 포화 상태에 달했으며, 바로 이 기독교 시장의 과포화 상태가 타 종교에 대한 공세로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남경욱기자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