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과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이 29일 양국관계를 전략적 협력 동반자관계로 격상시키기로 합의한 데는 크게 두 가지 메시지가 담겨 있다.
양국의 경제협력체제가 더욱 공고히 구축된다는 점, 북핵을 포함한 동북아 문제에서도 양국이 긴밀한 공조체제를 유지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는 점이다.
그간 한러 관계는 민간 위주의 경제교류나, 북핵 문제에서도 6자회담 등을 통한 제한적인 공조에 그쳤다. 이는 양국 관계가 1999년 김대중 전 대통령의 러시아 방문 당시 이뤄진 '상호 보완적인 건설적 동반자 관계'에 머물러 있었던 데서 비롯된 측면이 크다. 때문에 양국을 둘러싼 정세가 급변하는데 맞춰 어떤 형태로든 관계 격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정치적 성과가 관계 격상이라면 실리적 성과는 이 대통령이 역점을 두고 있는 '자원외교'가 첫 결실을 거뒀다는 점이다.
천연가스 도입 합의와 함께 서캄차카 등 러시아 연방내 해상광구 개발사업에 관한 협력 증진, 광물자원 개발 협력 등이 굵직한 성과물로 꼽히고 있다.
특히 러시아에서 북한을 경유해 우리나라로 천연가스를 공급하는 가스배관 건설사업과 한반도 종단철도(TKR)ㆍ시베리아횡단철도(TSR) 연결사업 등의 공동 추진은 향후 남북간 경제협력의 중요한 모멘텀이 될 수 있을 것이란 점에서 주목된다.
물론 북한의 협조가 관건이지만, 우리나라와 러시아가 먼저 손잡고 북한을 설득해가는 경제공조를 이뤘다는 점은 의미가 크다.
외교안보적 관점에서는 북핵 문제 해결 및 한반도 평화 정착에 대해 긴밀한 공조체제를 구축했다는 데 평점을 줄 수 있다. 중국과 함께 북한에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러시아에 대해 우리나라가 공조체제를 구축키로 한 것은 이른바 북한의 '통미봉남 (通美封南)' 정책을 견제하는 데 상당한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에 대한 공조방침은 메드베데프 대통령에 이어 막후 실세인 블라디미르 푸틴 총리도 지지 의사를 밝혀 더욱 힘을 얻게 됐다.
청와대 관계자는 "미국과 일본, 중국에 비해 대(對) 러시아 관계에 소홀한 점이 있었고, 이 때문에 러시아의 불만도 없지 않았다"면서 "이번 순방을 통해 양국의 실질적인 협조방안이 마련되고 외교적인 문제도 해소되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모스크바=염영남 기자 liberty@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