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몸과 마음/ 기억력 감퇴, 뇌를 자극하라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몸과 마음/ 기억력 감퇴, 뇌를 자극하라

입력
2008.09.25 01:12
0 0

나이 들면서 많은 사람이 기억력 감퇴 등 뇌기능 저하 증상으로 고통을 받는다. 자주 쓰는 전화번호가 생각나지 않고 사람 이름, 심지어 아침에 먹은 반찬조차 떠올리지 못한다.

가장 큰 원인은 노화로 뇌세포가 점차 없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뇌에 영양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게 되는 뇌혈관 질환, 신경세포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노인성 치매(알츠하이머병), 사고로 인한 외상도 영향을 미친다.

한방에서는 기억력 감퇴의 원인을 심장과 소화관 순환에 관여하는 비장의 혈기 부족으로 발생한다고 풀이한다. 광동한방병원 뇌기능센터 문병하 원장은 "비장의 혈기 부족은 곧바로 체액 순환 장애로 인한 대뇌의 기능 저하로 이어져 전반적인 근력과 자율신경 및 통증 조절 능력, 기억력 감퇴를 일으킨다"고 말했다.

한방에서 흔히 심장과 비장의 혈기를 북돋는 데 관여하는 경락을 자극하는 침 치료와 함께 턱관절과 목뼈 부위를 밀고 당기며 문지르는 방법으로 뇌를 자극하는 치료를 병행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원지와 석창포, 백복신, 천문동, 상륙화, 우황, 자하거(태반) 등의 한약재를 달여 차처럼 자주 마시면 기억력 증진에 도움이 된다. 한의원에선 이들 약재를 위주로 만든 총명탕, 개심산, 정지환, 가감고본환 등의 한약들을 기억력 증진 목적으로 처방하기도 한다.

신체 기능을 좋게 하기 위한 건강관리와 마찬가지로 기억력 감퇴를 막으려면 무엇보다 충분한 수면과 함께 각종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해야 한다. 아울러 심신의 피로가 누적되지 않게 수시로 스트레칭을 해 줌으로써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것도 중요하다.

문 원장은 "뇌에 자극을 주는 효과는 바둑이나 고스톱 같이 머리를 쓰는 게임도 좋지만 가동이 가능한 범위 안에서 근육을 최대한 수축ㆍ이완하는 운동을 반복하는 것이 훨씬 더 낫다"고 강조했다.

권대익기자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