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미국 중국 등 6자회담 주요 당사국이 유엔 총회가 열리는 이번 주 미국 뉴욕에서 연쇄 양자회담을 갖는다. 지난달 14일 북한이 핵 불능화를 중단하면서 막힌 핵 문제 해결의 물꼬가 트일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22일(현지시간) 콘돌리사 라이스 미 국무장관과 회담을 갖는 데 이어 6자회담 의장국인 중국 양제츠 외교부장과 만난다. 라이스 장관과 양제츠 부장도 별도로 회담할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21일에는 김숙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차관보가 만나 조율작업을 벌인다. 회담에서는 핵 검증 의정서 합의, 북한의 영변 핵 시설 복구 의도 등에 대해 중점 논의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회담에서는 7월 베이징(北京) 6자회담 수석대표회의에 비해 각국 대표단이 장관급으로 한 단계 격상됐다. 정치적 판단에 따른 절충 가능성이 커졌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신호다.
북한과는 회담이 잡혀 있지 않지만 유엔총회 기간 박길연 외무성 부상이 북한 대표로 뉴욕에 머물고 있어 핵 문제 해법을 도출하기 위한 외교 채널 또한 분주하게 가동될 것으로 보인다.
한미 양국이 최근 북한의 잇단 강경발언에 직접 대응을 삼가고 있는 점도 주목할 부분이다. 북한을 어르고 달래서 어떻게 든 비핵화 논의를 재개하겠다는 것이다.
정부 당국자는 19일 경제ㆍ에너지 실무그룹 남북협의를 마친 후 “한국은 (북한이) 핵 시설을 원상복구하면 경제ㆍ에너지 지원을 이행하지 않겠다고 하지는 않았다”며 북한을 자극하지 않으려 애쓰는 기색이 역력했다.
스티븐 해들리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20일 “과거 북한은 한미 등이 견고하게 협력하면 협상테이블로 되돌아 왔다”면서 “(6자회담 관련) 가끔 임박해서 일이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고 언급해 유엔총회 기간 북한과의 협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하지만 여전히 상황은 녹록치 않다. 북한은 19일 6자회담 실무협의에서 미국에 대해 노골적으로 불만을 표출했고, 이날 외무성 대변인도 “우리는 테러지원국 명단 삭제를 바라지도 않고 기대하지도 않으며 우리대로 나갈 것”이라며 강경입장을 거듭 밝혔다.
미국도 갈수록 힘이 떨어지는 모양새다. 테러지원국 해제와 북핵 검증을 연계하려는 전략은 이미 어그러졌고 국내 금융위기, 대선정국과 맞물려 북한을 움직일 수 있는 수단이 마땅치 않은 상태다.
외교 소식통은 21일 “한ㆍ중ㆍ미 3국 외교장관이 머리를 맞대는 이번 주가 북핵 문제 해결의 분수령”이라며 “다만 북한을 돌려놓을 만한 추동력이 부족한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rollings@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