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고위 당국자는 2일 ‘9월 위기설’에 대해 ‘국제통화기금(IMF) 증후군’이라고 일축했다. 환란 이후 제기됐던 수많은 위기설 중 하나일 뿐, 큰 의미를 부여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우선 외국인들이 보유하고 있는 9월 만기 채권 일시 회수 가능성은 사실상 없다는 게 정부 판단이다. 외국인들이 8월 들어 채권 순매수(1조5,000억원)로 돌아섰고, 기대 수익률도 최근 다시 상승하면서 만기 채권의 재투자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외국인들이 국채 투자분을 일시에 회수해 나갈 만큼, 우리나라 경제의 기초 체력(펀더멘털)이 취약하지는 않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 또 외국인들이 국내 채권 투자를 할 때 스와프 계약을 통해 회수할 달러를 미리 확보해 두는 만큼, 환율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적이라는 입장이다. 환율 급등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없다는 것이다.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실탄(외환보유액)도 넉넉하다는 게 정부 주장이다. 외환보유액 대비 만기 1년 이내 유동외채비율이 86.1%(6월말)로 가장 극단적인 자금 일시 이탈 상황에서도 대응이 가능한 수준이라는 것이다.
외채 증가 역시 환란 당시와 단순 비교하는 것은 무리라는 입장이다. 최근의 외채 증가는 선박 수출이 늘어나면서 환율 위험을 회피(헷지)하기 위한 선물환 등 일시 차입의 성격이 짙다는 것이다.
6월말 현재 대외 채무는 4,198억달러로 이중 상환 부담이 없는 환헤지용 해외 차입금을 제외하면 절반을 조금 넘는 2,698억달러로 줄어든다. 정부 한 관계자는 “특히 총외채의 20%, 단기외채의 45%가 외국은행 국내지점들이 본점에서 차입한 것으로 순수 외채로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영태 기자 ytlee@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