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정부가 추진중인‘고교다양화 300 프로젝트’의 하나인 ‘기숙형공립고’82곳이 선정됐다. 농ㆍ산ㆍ어촌 지역의 우수고교와 지역거점 고교가 주축이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열악한 시골 지역의 교육인프라 개선 등을 위해 문을 여는 기숙형공립고가 학교간 교육격차를 오히려 심화시키고 입시기관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6일 “전국 시도 교육청으로부터 추천받은 90개교를 대상으로 현장 점검과 심의를 거쳐 전남 장흥고 등 82곳을 최종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기숙형공립고는 2010학년도부터 신입생을 선발한다. 교과부는 “이번에 선정된 학교는 모두 비평준화 지역에 위치해 학생 선발은 추첨이 아닌 학교별 전형을 통해 이뤄지게 되며, 구체적인 모집요강은 내년 9월 이전에 발표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숙형공립고는 학교당 평균 38억원씩, 총 3,173억원의 예산이 투입될 만큼 지원 규모도 크다. 입학생들은 대부분 기숙사 생활을 하게 된다. 교과부에 따르면 이들 지역 공립학교의 기숙사 수용률은 27%에 불과하며, 특히 기존 유휴시설이나 임시 가설물 등을 활용한 경우가 많아 기숙사 시설도 열악하기 짝이 없다.
교과부는 2010년 개교 이전까지 2~4인 1실 형태의 기숙사를 완비해 학생 수용률을 최대 80% 이상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기숙형공립고는 교육과정 운영, 학사운영 등에서 자율성을 보장 받게 되며, 교장공모제 교사초빙제 등을 통해 자체적으로 우수교원을 충원할 수도 있다. 성삼제 학교제도기획과장은 “방과후 학습 프로그램, 특기적성 프로그램, 기숙사 홈커밍데이 등 다양한 학습 커리큘럼도 도입해 기숙형공립고를 인성교육의 구심점으로 키워 나가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벌써부터 논란도 적지 않다. 지역 내 관심과 지원이 기숙형공립고에 집중되는 ‘쏠림 현상’이 빚어질게 뻔해 낙후 지역 마저 교육 격차가 확대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전남 지역의 한 교장은 “기숙형공립고가 들어서면 가뜩이나 학생 수가 부족한 시골 학교들은 존폐를 걱정해야할지 모른다”며 거부감을 보였다.
교과부는 2009년 이후 도ㆍ농 복합 중소도시 및 사립고교로 기숙형공립고 지정을 확대하고, 학교특색살리기 사업 등 각종 학교지원 사업 대상 선정시 비지정학교에 우선권을 부여하면 교육력의 동반 향상이 가능할 것이라는 입장이지만, 상대적 박탈감을 해소하기에는 미흡하다는 목소리가 많다.
김이삭 기자 hiro@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