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를 약속했던 성장률을 4%대로 가라앉았다. 대신 물가가 7%를 바라보고 있다. 오죽하면 성장(7%)-소득(4만달러)-경제규모(7대 경제대국)의 7ㆍ4ㆍ7이 아니라, 물가-성장-지지율의 7ㆍ4ㆍ7이란 비아냥까지 나왔을까.
30만개 이상을 약속했던 일자리는 반토막에도 못 미치는 15만개 수준. 경상수지는 11년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설 조짐이다.
통계로 본 MB정부 6개월의 경제성적표는 최악이었다. 물론 고유가와 경기침체로 얼룩진 글로벌 악재 때문이지만, 정부 역시 이를 반전시킬 힘과 신뢰가 없었음은 부인하기 어렵다.
정부는 지난달 ‘하반기 경제운용방향’에서 올해 경제전망을 당초 출범 초기(3월)보다 대폭 후퇴, 수정했다. ▲성장률 6%→4.7% ▲소비자물가 3.3% →4.5% ▲일자리창출 35만명→20만명 ▲경상수지 70억달러 적자→100억달러 적자 등 모든 경제지표를 낮춰 잡았지만, 이마저도 위태위태하다. 각종 경제지표도 외환위기 수준까지 주저 앉았다.
최대 위협은 역시 물가다. MB정부 출범 당시부터 불안했지만 초기 고환율정책에 볼 수 있듯, 정부는 이를 과소평가했다. 뒤늦게 ‘MB물가’지수까지 만들어 총력전을 펴고 있지만,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2월 3.6%에서 7월 5.9%까지 치솟은 상태다.
성장과 고용도 뒷걸음질이다. 경제성장률은 1분기 5.8%에서 2분기 4.8%로 떨어졌고, 하반기엔 3%대를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수출호조에도 불구하고 고유가 때문에 올들어 7월까지 무역적자만 83억달러에 이르는 등 경상수지는 환란 이후 첫 적자가 예상된다. 취업시장은 더 암울해 일자리 숫자가 5개월째 20만개를 밑돌고 있고, 지난달에는 고작 15만3,000개에 그쳤다.
그 결과, 개인소득은 제자리걸음이고 상하위 계층간 소득양극화는 참여정부 직후인 2003년이후 최악의 상황으로 벌어졌다.
금융시장은 점점 더 나빠지는 양상이다. 주가는 1,500선을 내줬고, 환율은 1,060원까지 치솟았다. 주식가격, 원화가격, 채권가격이 모두 떨어지는 ‘트리플’약세장이 펼쳐지고 있다. 이 역시 서브프라임모기지 부실사태의 긴 후유증과 유가불안, 달러강세 등 외부영향이 크지만, 결국은 우리경제의 펀더멘털에 대한 불신과 회의로 이어지고 있어 불안을 자아내고 있다.
문향란 기자 iami@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