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8ㆍ15 경축사를 통해 '저탄소 녹색성장'을 새로운 60년의 핵심발전 전략으로 제시할 정도로 '저탄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많이 늘었다. 지방자치단체들도 '탄소 제로' '저탄소' 도시 건설을 위한 다양한 청사진을 잇따라 발표하고 있다. 경기도는 동탄2 신도시를 '탄소제로' 도시로 건설할 방침이고, 안산시의 '탄소사냥대회'나 경남 창원시의 기업과의 '탄소감축 협약' 등이 잇따르고 있다. 선진국에 비해 늦긴 했지만 본격적 '탄소 감축'의 바탕인 사회적 인식이 확산되고 있어 반갑다.
■'탄소 감축'이나 '저탄소' 등의 '탄소'는 물론 이산화탄소(CO2)를 가리킨다. 이산화탄소가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악명이 높다 보니 탄소 자체에 눈을 흘기는 사람도 있겠지만, 탄소가 아니고는 애초에 생명을 생각할 수 없다. '탄소가 있다'는 뜻으로 '유기체'라고 불리듯, 모든 생물은 탄소화합물로 이뤄졌고, 그 활동 에너지도 식물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붙잡아 고정시킨 탄소를 '태워' 얻는다. 현재는 화석연료의 탄소에서 얻는 에너지 없이 유지될 사회를 생각하기도 어렵다. 탄소는 생명과 사회의 기초다.
■원래 지구 규모의 탄소순환은 자연적 균형을 이룬다. 이산화탄소 형태로 대기 중에 방출된 탄소는 대부분 식물에 흡수되거나 바닷물에 녹는다. 그러나 땅 속의 화석연료를 꺼내 쓴 결과 대량 방출된 이산화탄소를 자연적 탄소순환으로 소화하기엔 역부족이다. 결국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졌다. 신ㆍ재생에너지 등 다양한 탄소감축 방안이 제기됐지만 아직 효과는 미지수다. 경제성도 걸림돌이지만, '녹색 구상' 본연의 모순도 드러나고 있다. 가령 친환경 연료인 바이오 디젤의 원료 재배를 위한 삼림 개발은 나무에 집적된 탄소의 대량 방출을 부른다.
■탄소감축이라는 분명한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결국 기술에 의존하리라는 예감이 짙다.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이 미국과 노르웨이, 일본 등이 대대적으로 실용화 실험에 나서 있는 '이산화탄소 포집ㆍ저장(CCS) 기술'이다. 화력발전소 등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ㆍ농축, 폐유전이나 폐가스전 등의 지하공간에 저장하는 방식이다. 현재의 탄소위기가 자연적 탄소순환과 무관한 영역인 '땅 속'에 속한 화석연료를 꺼내 쓴 데서 시작됐다면, 그 빈 공간을 다시 탄소로 채우는 것이야말로 해결책일 수 있다. 적어도 논리적으로는 이런 '원상회복'보다 확실한 방안을 상정하기 어렵다.
황영식 논설위원 yshwang@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