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시간당 노동생산성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 회원국 평균의 절반에 불과한 것으로 밝혀졌다고 한다. 유례없이 긴 노동시간이 이 같은 결과를 초래한 주요 요인이라지만 이 같은 추세가 수년째 고착되어온 것은 큰 문제다. 정시 출퇴근을 백안시하는 직장풍토와 일상화한 잔업, 특근으로 임금을 보상 받는 관행 등 노동시장과 노사관계의 왜곡된 구조를 뜯어고치는 계기로 삼을 만하다.
기획재정부와 OECD에 따르면 2006년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노동생산성은 시간 당 20.4달러에 그쳤다. OECD 회원국인 터키 멕시코 폴란드에 이어 네 번째로 낮은 수치로, 체코 헝가리보다도 떨어진다. 벨기에 덴마크 네덜란드 미국 프랑스 독일 등 상위권 국가에 비해서는 거의 40% 수준이다.
근로시간당 GDP(국내총생산)을 나타내는 노동생산성은 구매력 기준 GDP를 단순히 전체 노동시간(취업자수x연 평균 근로시간)으로 나눈 수치여서 근로자의 능력과 근면함만 반영할 뿐 국가별 생산효율성이나 기술수준 등이 감안되지 않는 맹점이 있다. 재작년 기준 연 근로시간이 2,354시간으로 OECD 평균보다 600시간 이상 많으니 수치가 좋게 나올 리 없다.
하지만 계산방식에 어떤 맹점이 있든, 세계 10권의 경제력을 자랑하는 나라의 근로조건으로서는 창피한 일이다. 임금구조 정상화나 전근대적 근무여건 쇄신을 위한 노사, 특히 기업의 인식이 먼저 바뀌어야 하겠으나 생산효율성과 기술수준을 높이는 산업구조 고도화에도 눈이 미쳐야 한다.
파이낸셜 타임스의 아나 파이필드 서울특파원은 엊그제 4년 동안의 한국 체류를 마감하며 쓴 기사에서 “한국에는 ‘전 속력’이라는 단 하나의 속도만 있다”며 추진력만 있을 뿐 창의력 응용력이 부족한 문제점을 꼬집었다.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돈(GDP의 8%)을 교육에 쏟아 붓지만 정작 노동생산성은 미국의 40% 수준이고 서비스부문 생산성 역시 지난 15년간 정체상태“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그는 “가속페달에 올린 발을 떼고 한국인 특유의 추진력과 인적자본을 더 효율적으로 쓰는 일에 대해 생각하라”고 조언했다.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