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가 천정부지로 치솟으면서 서민들의 살림살이가 갈수록 팍팍해지고 있다. 7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무려 5.9%나 오르면서 6%대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6월 물가상승률은 5.5%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 회원국 평균 4.4%보다 훨씬 높다. 우리 국민들이 고유가와 원자재가격 급등의 충격을 유난히 많이 받고 있는 셈이다.
이명박 대통령의 특별지시로 3월에 만든 52개 생필품의 물가지수(MB지수)도 지난달 7.8%나 올랐다. MB물가의 경우 정부가 1970년대식 물가통제라는 비판을 들어가며 특별관리하고 있지만, 그 동안 단 한 차례도 소비자물가지수보다 내려간 적이 없었다. 유가가 가장 비쌌던 시기에 계약했던 원유가 8월 이후 수입되는 것을 감안하면 당분간 고물가 추세는 이어질 수밖에 없다.
다행히 국제유가가 최근 3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고, 가스 밀가루 유연탄 등 주요 원자재 가격이 내림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물가를 진정시키는 계기로 작용할 전망이다. 정부가 어제 물가 및 민생안정 차관회의를 열어 라면 빵 과자 등 생필품 가격 인하를 유도하고, 물가상승 분위기에 편승해 여행비와 학원비 등을 올린 업체들을 조사키로 한 것은 시의적절하다.
인위적인 가격통제는 시장을 왜곡하고, 기업들의 반발을 가져온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하지만 원자재가격이 하락하고 있는 만큼 기업들도 정부의 가격 인하 유도에 앞서 고통 분담 차원의 대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
원자재가격이 오를 땐 재빨리 올렸던 기업들이 내릴 땐 질질 끌거나 찔끔 내리는 이기주의적 행태를 되풀이해서는 안 된다. 예컨대 밀가루 수입관세가 최근 0%로 내렸는데도 불구하고 제분업계와 라면 과자업계가 가격 인하에 난색을 표하는 것은 정부의 물가안정 노력에 역행하는 처사다. 생산원가가 낮아졌으니 소비자들의 부담도 그만큼 낮춰줘야 마땅하다. 정부는 하반기에 줄줄이 예정돼 있는 가스 전기 등 공공요금의 인상도 최대한 억제하거나 늦춰 서민들의 고물가 고통을 덜어줘야 할 것이다.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