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사는 근로자가 대출을 받아 아파트를 구입하려면 가구 소득이 최소 7,100만원은 돼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값은 여전히 비싸고 금리까지 올라, 도시 서민들의 내 집 마련이 그만큼 힘겨워졌다는 뜻이다.
주택금융공사는 3일 캐나다 등 선진국에서 널리 활용되는 ‘주택구입능력지수’ 개념을 적용, 우리나라 도시 근로자들의 지역별ㆍ주택규모별ㆍ계층별 주택구입능력을 처음으로 측정한 결과 올해 3월 현재 지역별 주택구입능력지수는 서울이 151.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주택구입능력지수가 151이란 얘기는 중간계층 정도의 가구소득이 있는 근로자가 집값의 절반을 대출 받아 중간 가격대의 아파트를 살 경우, 대출 원리금을 무난히 상환하기 위해서는 소득이 최소한 현재의 1.5배는 돼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금액으로 환산하면 서울의 중간가구 연 소득은 4,700만원 정도인데, 이런 가구가 주택담보대출금리 6.7%(3월 현재)를 기준으로 서울에 있는 중간가격대(3억9,000만원) 주택을 구입하려면 지금 버는 금액의 1.5배인 7,100만원 소득은 돼야 한다는 것이다.
반면 서울과 경기(105.1)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대구 68.0, 인천 66.8, 부산 56.9, 대전 52.0 등으로 모두 100을 밑돌았다. 서울ㆍ수도권과 나머지 지역간 아파트 가격격차가 그만큼 심하다는 얘기다.
이를 바탕으로 중간소득 가구가 중간가격의 아파트를 구입하기 위해 미리 준비해야 할 자기자금 규모를 파악해 본 결과, 전국 기준으로는 집값의 33.8%만 준비하면 됐으나 서울에서는 집값의 67%에 달하는 목돈이 있어야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중간소득 가구가 집값의 절반을 대출 받는 경우, 대출금 상환에 지출해야 하는 비용이 전국 기준으로는 가구소득의 18.9%이지만 서울에서는 가구소득의 37.8%에 이르렀다.
아파트 규모별로는 올 3월 현재 60㎡ 이하인 소형 아파트와 85㎡ 이하인 중소형 아파트의 주택구입능력지수가 각각 43.3, 76.6에 불과했다. 하지만 135㎡ 이하인 중형, 135㎡ 초과인 대형 아파트의 경우 각각 148.7과 307.5에 달해, 대출을 이용해선 중대형 아파트를 구입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 함께 저소득계층인 소득 3ㆍ4분위 가구의 주택구입능력지수를 별도로 조사한 결과, 전국 기준으로는 103.6, 경기 144.2, 서울은 207.7로 나타나 대출상환 부담이 상대적으로 매우 큰 것으로 분석됐다.
주택금융공사 이중희 본부장은 “우리나라는 그동안 정부나 학계, 금융기관 등에서 주택구입능력을 나타내는 척도로 연 소득 대비 집값비율(PIR)만을 주로 사용했으나 주택금융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는 현실을 감안해 주택가격과 소득수준, 대출금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주택구입능력지수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최진주 기자 pariscom@hk.co.kr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