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어제 전당대회에서 정세균 당 대표와 5명의 최고위원을 선출, 앞으로 2년 간 당을 이끌어갈 새 지도부를 구성했다. 새 지도부는 지난해 대선 패배와 올 봄의 총선 참패를 딛고 4년 뒤의 총선과 대선을 겨냥해 기초체력을 다져야 할 근본과제를 떠안았다.
이런 근본 과제에 이르기 위해 거쳐야 할 개별 과제는 허다하다. 우선 지난해 대선을 앞두고 급히 이뤄진 껍질의 통합을 내용적으로 완성해 이념과 노선에 따른 당내 견제와 균형은 있더라도 ‘출신 성분’에 따른 계파 갈등은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한다. 전당대회에서 ‘통합민주당’의 ‘통합’을 떼어내고 민주당으로 개칭한 것이나, 정 대표가 ‘뭉쳐야 강해진다’는 구호를 내세운 데서 그런 열망을 읽을 수 있다.
지도체제를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로 개편한 것 또한 대표를 중심으로 결집하자는 다짐이다. 대표 경선에서 57.6%의 득표를 한 정 대표의 합리성과 조정능력에 기대를 걸어 본다. 다만 정치거물의 강력한 흡인력에 이끌렸던 과거의 기억에 사로잡혀 있는 한 일상적 지도력의 공백은 불가피하다. 정 대표 스스로 지도력을 발휘하는 게 중요하지만 최고위원들이 단합해 ‘단일성’을 보강하려는 자세를 가져야만 지도력 안정을 꾀할 수 있다.
정 대표에게 거는 또 하나의 기대와 주문은 실용적 대안 노선의 확보다. 지난해 대선 참패와 그 여파인 4ㆍ9총선 참패를 통해 네거티브 전략의 한계는 분명해졌다. 더욱이 ‘쇠고기 파동’으로 정부ㆍ여당이 ‘신뢰의 위기’를 겪는데도 민주당 지지율은 여전히 바닥권이다. 일방적 비판에 매달리며 선명성만 갖추면, 반사이익이 흘러들던 과거와는 확연한 차이다.
비판에 그치지 말고 분명하고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느냐는 실용적 잣대가 진정한 대안인가의 기준이 될 것이다. 여야가 실용적 효율성을 중심으로 정책노선을 다투는 상황은 ‘선명성 경쟁’ 국면보다 정 대표의 지도력 확립에도 유리할 것이다.
그 첫 시금석이 조속한 국회 정상화다. 손학규ㆍ박상천 전 공동대표의 마지막 당부이기도 한 국회정상화 결단에 새 지도부가 나설 수 없다면 민주당의 앞길은 어둡다.
아침 지하철 훈남~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