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나긴 촛불집회의 결과 이명박 정부의 반응이 가시화했다. 촛불집회가 정부의 명백한 과실에서 비롯됐음을 잘 알기에 이명박 정부도 뼈를 깎는 반성 위에 새로운 출발을 다짐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어제 20일을 재협상 촉구의 시한으로 설정했던 ‘광우병 국민대책회의’는 내일까지 이어지는 ‘48시간 비상행동’에 들어갔다. 오늘 발표될 미국과의 추가협상의 결과가 자신들이 요구한 재협상이 아니라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촛불집회에 대한 국민들의 생각은 뚜렷하다. 광우병에 대한 우려를 제거하지 못한 정부에 강력 항의하지만, 그렇다고 이 정부를 뒤집어 엎는 정치적 행태에는 동의할 수 없다는 것이 아니겠는가. 대책회의가 그저께 밤 개최한 국민 대토론회에서도 이러한 공감대는 확인되었다. 자신만만하고 기고만장하던 이명박 정부로 하여금 출범 4개월도 안돼 두 번이나 국민을 향해 머리를 조아리게 만들었다면 ‘촛불’은 ‘국민의 힘’을 충분히 보여주었다.
미국과의 쇠고기 추가협상에 관해 일단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는 것이 정부의 판단이다. 대책회의가 요구한 ‘완벽한 재협상’과는 물론 다르다. 하지만 그 ‘만족할 만한 결과’는 촛불과 국민의 힘이 아니었다면 애초 얻어내기 어려웠던 것은 분명하다. 부족함을 빌미로 잡아 다른 분야로 투쟁을 계속 벌여가면서 ‘이명박 퇴진, 정권 타도’를 외친다면 국민의 공감으로 타올랐던 촛불은 정당성을 상실하게 될 것이다.
촛불문화제와 촛불집회에 공감했던 우리는 그것이 민생집회에서 정치시위로 변질돼 가는 것을 우려해 왔다. 같은 맥락으로 현재 상황에서 오늘을 ‘이명박 정부 심판을 위한 제2차 촛불대행진의 날’로 설정하고 시민 참여를 유도하는 대책회의의 주장에 공감할 수 없다. 광화문과 서울시청 앞 광장을 밝혔던 촛불들은 ‘배후나 조직’의 독려나 사주로 이뤄진 것이 아니었다. 촛불은 언제나 다시 타오르고 시민이라면 누구나 또 나설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이 ‘국민의 힘’이 되려면 자발적 의지와 다수의 지지가 바탕이 돼야 한다는 것을 참가자 모두가 경험으로 잘 알고 있다.
ⓒ 인터넷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터넷한국일보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인터넷한국일보는>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