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 개방에 적극적인 동아시아 국가들의 금융통합 방안으로 자본자유화 대신 동아시아통화단위(ACU) 도입이 바람직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박영철 고려대 교수와 샤를르 위플로즈 제네바 국제대학원 교수는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 재무장관회의를 하루 앞둔 15일 제주 신라호텔에서 열린 국제컨퍼런스에서 “동아시아의 금융통합 방안으로 완전한 자본자유화보다는 각국의 환율 변동성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역내 환율을 안정화시키는 방안이 매력적”이라고 주장했다. 수출을 성장의 원동력으로 삼는 아시아 국가들은 완전한 변동환율제를 허용하는 데 신중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아시아, 유럽과 역내 경제통합의 미래’ 주제의 이번 컨퍼런스에는 크리스틴 라가르드 프랑스 경제장관, 수파차이 파닛차팍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 사무총장 등 저명인사 100여명이 참석했다. 최중경 기획재정부 차관은 개회사를 통해 “아시아의 경제협력은 장기 비전을 갖고 점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한국이 ‘진정한 하나의 아시아’를 위해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 차관은 “아시아는 유럽보다 국가간 다양성이 높아 지역통합이 어려울 수 있다”며 “지역특수성을 감안한 통합모델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동아시아 금융협력의 틀로서 치앙마이 구상(CMIㆍ아세안+한ㆍ중ㆍ일 3국이 외환보유액을 공동 출자해 외환위기 발생 때 공동 방어하는 시스템)과 아시아채권시장발전방안(ABMI)도 강조됐다.
가와이 마사히로 아시아개발은행연구원(ADBI) 원장은 “선진국 경제가 침체되고 원유 및 원자재값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상황 속에서, 동아시아 국가들이 세계적 금융 불안에 대응하기 위해 지역 금융협력이 필수적”이라며 ▦ABMI를 통해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정적인 동아시아 금융네트워크 구축 ▦달러 약세에 대응하기 위해 ACU를 통한 환율 안정 및 금융 통합 등을 제언했다.
가토 다카토시 국제통화기금(IMF) 부총재는 “한국 정부는 물가상승 기대심리를 안정시키는 데 정책의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경제는 세계 경기둔화, 생필품 가격 상승이라는 단기 리스크에 직면해 있다”며 “올해 성장률이 4%까지 떨어질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제주=문향란 기자 iami@hk.co.kr
ⓒ 인터넷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터넷한국일보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인터넷한국일보는>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