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에 따른 물류 대란 피해가 산업계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전자 철강 건설 자동차 등 산업계 전체가 발이 묶이면서 수출 및 자재 수급에 빨간 불이 켜졌다. 심지어 제품이 쌓이고 자재 공급이 어려워지면서 생산을 중단하는 업체도 늘고 있어 물류 대란이 산업 대란으로 본격 확산되고 있다.
● 수출입 13억1,900만달러 차질
15일 업계에 따르면 화물 연대의 운송 거부에 이어 조합원들의 방해까지 겹쳐 기업들이 제품 생산 및 운송에 차질을 빚고 있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현재까지 접수된 기업들의 피해는 수출 54개사 1,175만달러, 수입 30개사 302만달러 규모에 이른다. 지식경제부는 물류 대란 사흘 동안 수출 6억4,100만달러, 수입 6억7,800만달러로 총 13억1,900만달러의 수출ㆍ입 차질이 발생한 것으로 추산했다.
전자업계는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생활 가전이 수출을 하지 못해 타격을 받고 있다. 현재 컨테이너 차량의 원활한 수급이 안되면서 미국, 유럽 수출에 차질이 발생했다.
생활 가전을 생산하는 삼성전자 광주 공장의 경우 하루 250대의 컨테이너 차량이 움직이고 있으나 파업이 시작된 13일부터 운송량이 절반으로 떨어졌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하루 30, 40억원 가량의 수출 물량이 못나가서 피해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
현대자동차는 9일부터 화물연대 울산지역 카캐리어 분회의 수송 거부로 일주일째 일 평균 500대 가량의 운송차질이 발생했다. 전면파업이 진행된 13일부터는 기아자동차 광주 공장의 수출 및 내수 차량의 60% 가량이 운송을 중단한 채 발이 묶였다.
포스코, 현대제철 등은 포항 제철소와 당진 공장 등에 물량을 쌓아놓고 있다. 동파이프를 만드는 ㈜풍산의 온산공장도 하루 평균 100대 이상의 트럭이 움직였으나 현재 운송차량은 10대 미만으로 줄었다.
● 생산 및 공사 중단 속출
자재 수급이 원할하게 이뤄지지 못하면서 조업을 중단하는 업체들이 늘고 있다. 특히 중소기업의 피해가 심각하다. 석고보드 생산업체인 라파즈코리아석고는 운송되지 못한 제품이 쌓이면서 14일부터 생산을 중단했다. LG화학, 삼성토탈, 롯데대산유화 등도 식품 포장용 필름을 실어나르지 못하면서 식품 포장지 가공업체들이 일부 생산 시설의 가동을 멈췄다.
철판과 내진재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전자업계도 생산 축소를 우려하고 있다. 삼성전자 LG전자 모두 7~10일분의 자재를 확보하고 있는 상황. 삼성전자 관계자는 “제일모직 여수공장에서 조달하는 내진재의 운송이 어렵다”며 “현재 확보된 자재로는 1주일을 버티기 힘든 만큼 내주 초까지 파업이 풀리지 않으면 생산량을 줄여야 한다”고 설명했다.
건설업계는 파업의 직격탄을 맞았다. 원자재 수송이 중단되면서 일부 건설업체들이 아파트 신축, 도로 건설 현장 등에 필요한 시멘트와 아스팔트용 유재를 마련하지 못해 공사를 중단했다. 특히 16일부터 건설기계노조가 파업에 들어가면 레미콘, 굴삭기 등 건설 중장비 조달이 어려워 공사 중단 사태가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 화물연대 방해, 대책 마련 부심
기업들은 파업 장기화에 대비해 대책 마련에 나섰다. 전자업계는 국내 제품 배달용 차량 등을 동원해 제품을 수송하고 있다.
그러나 이마저도 쉽지 않다. 공장을 빠져나가는 운송 차량에 대한 화물연대의 방해가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화물연대의 방해로 차량 출입이 어렵다”며 “할 수 없이 공장 주변 주차장에 제품을 쌓아놓고 있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화학업계도 마찬가지. 화학업계 관계자는 “탱크로리 등으로 제품을 수송하고 있으나 화물연대에서 길목을 지키며 차량 번호를 적고 있어 운전기사들이 부담스러워 한다”고 말했다.
현대자동차 직원들은 직접 고객 차량 운송에 나서며 비상경영체제에 들어갔다. 현대자동차 관계자는 “14일부터 직원들이 공장에서 출하된 차를 출고 센터까지 직접 운송하고 있다”며 “400~500명의 직원들이 운송 교육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사후관리(AS) 부품 등 긴급 수출이 필요한 물품은 군용트럭 13대를 지원받아 해결했다.
그러나 업체들의 대책은 임시 방편에 불과해 파업이 장기화되면 국가 경제에 미치는 피해는 커질 수 밖에 없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파업이 1주일 이상 장기화하면 생산이 중단돼 수출이 끊기고 국가 신인도가 떨어질 수 있다”며 “치명적인 결과를 막으려면 정부, 화주, 화물연대 등이 원만한 협의로 조속히 마무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연진 기자 wolfpack@hk.co.kr손재언기자 chinason@hk.co.kr
ⓒ 인터넷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터넷한국일보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인터넷한국일보는>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