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내일로 취임 100일을 맞는다. 실용주의적 경제체질 개혁으로 경제활력을 살려내겠다는 다짐과 달리 내외 환경의 악화 속에 경제전망은 더욱 불투명하고, 급박한 물가상승이 서민생활을 압박하고 있다. 미국산 쇠고기 파동에서 보듯, 사회적 갈등ㆍ대결 구도에도 변함이 없어 국민통합 다짐마저 빛이 바랬다.
지난해 대선에서 사상 최대의 표차로 승리하고서도 2월25일 취임 당시에 벌써 50%대로 떨어진 지지율이 최근에는 20%대로 곤두박질한 데서 보듯 많은 국민의 기대가 실망으로 바뀌었다. 누가 보더라도 이 ‘100일의 성적표’는 참담한 실패의 기록이다.
이 대통령이나 정권에 책임을 돌리기 어려운 환경변화가 있었음은 물론이다. 석유와 곡물, 원자재 가격의 급등이 자원과 식량 빈국인 한국에 미친 악영향은 누구라도 쉽사리 소화해 내기 어렵다. 또한 언론을 비롯한 사회 각 세력이 취임 직후 한동안 정권에 관용적 태도를 보임으로써 새로운 정책기반을 조성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던 ‘허니문 기간’이 실종된 것도 사실이다. 정권을 잃은 세력이 이른바 ‘IMF 위기’ 때문에 정치적 역공에 나설 기회가 없었던 1997년 정권교체 때와는 달리 이번에는 10년 만에 정권을 잃은 세력이 반발 기회를 가질 수 있었던 것도 한 요인이 됐다.
그러나 이런 사정 변화를 감안하더라도 ‘100일의 실패’의 최종 책임은 이 대통령과 그 주변이 질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취임 전 인수위의 ‘아린지’ 파문이나 ‘강부자’ 파동으로 드러났듯, 국민 일반의 정서를 이해하지 못하는 듯한 정권 스스로의 태도를 남의 탓으로 돌릴 수는 없다. 늦었지만 이 대통령이 ‘국민과의 소통 부족’을 언급하고 나서면서 정권과 국민 사이에 새로운 공감대가 형성될 듯한 기대가 일었으나, 그 이후 미국산 쇠고기 문제 처리나 촛불시위 대응으로 보아서는 아직도 갈 길이 멀다.
이 ‘100일의 실패’를 더 이상 이어가서는 안 된다. 정권의 불행이 아니라 국민의 불행이기 때문이다. 급박한 환경악화로 보아 더 이상 시행착오를 거듭할 여유도 없다. 실패의 원인을 철저히 제거하되, ‘한 방’ 유혹에 끌려서는 안 된다. 실패가 작은 잘못이 누적된 결과이듯, 그 극복도 인적 쇄신과 활발한 소통 등 작은 성과로 꾸준히 이루어갈 수밖에 없다.
ⓒ 인터넷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터넷한국일보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인터넷한국일보는>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