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울산에 있는 지인에게 연락할 일이 있었다. 그는 대뜸 수화기에 대고 “고래 한 접시 하자”며 꼭 한번 들르라고 권했다. “아 맞다, 그곳 울산은 고래의 땅이었구나.” 공업도시로만 그려왔던 울산에서 갑자기 매력적인 유혹의 손짓이 느껴졌다.
‘고래의 꿈’이 맴도는 울산은 세계적 문화유산으로 국보 285호인 고래가 새겨져 있는 ‘반구대 암각화’와 천연기념물 126호 ‘극경회유해면’(克鯨廻遊海面ㆍ귀신고래가 다니는 바다) 등이 있는 곳이다.
'고래의 바다' 동해
과거 우리 선조들은 동해를 경해(鯨海ㆍ고래의 바다)라고 불렀을 정도로 우리 바다에는 고래가 많이 살았다. 실제 세계 포경사에는 18~20세기 러시아 미국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일본 등 열강의 포경선들이 고래기름을 얻기 위해 떼지어 동해로 몰려들어 마구잡이로 고래를 잡았다고 기록하고 있다.
우리는 해방 직후 울산 장생포를 중심으로 고래를 잡기 시작, 전세계적으로 포경이 금지된 1986년까지 계속됐다. 포경이 가능했던 시기 장생포에서는 하루 4~6마리 꼴로 고래가 해체됐다고 한다.
포경이 금지된 지 30년이 흘렀지만 울산에는 아직 고래에 얽힌 지역정서가 짙게 남아있다. 과거에는 유통, 보관 문제 때문에 잡힌 고래의 대부분이 이 일대서 해소됐다. 낙동강변에서 재첩국 팔 듯 울산에선 골목마다 머리에 광주리를 이고 다니며 “고래고기 사이소”를 외치던 아낙들이 많았다. 돼지고기보다 싼 가격의 붉디 붉은 고래고기는 주머니 가벼운 서민들의 고마운 단백질 보충 수단이었다.
지금도 연간 수백마리의 고래가 그물에 걸려 잡힌다. 고래가 잡히면 해경에서 검사해 작살 등을 사용한 사냥의 흔적을 살펴본 후 이상이 없을 경우에만 경매에 부칠 수 있다. 전국에서 잡히는 고래의 거의 대부분은 울산으로 향한다. 다른 곳엔 울산만한 고래 해체 기술이 없고, 이곳만한 고래고기 소비처도 없기 때문이다.
고래는 꾀가 있는 짐승이고 또 가족애가 투철한 동물이라고 한다. 옛 고래사냥꾼들은 수컷을 쏘면 암컷 고래는 새끼를 끼고 천리만리 도망가는데, 암컷을 쏘면 수컷은 도망가지 못하고 주변을 맴돈다고 믿었다. 그래서 고래 포수들은 암컷을 먼저 노려 2마리를 함께 잡는다고 한다.
귀신고래를 기다리며
울산의 장생포항에서 고래를 관측하러 나가는 배를 탈 기회를 얻었다. 고래를 볼 수 있다는 마음에 가슴이 설??? 1시간여 거대한 공장들을 스친 배는 대왕암과 울기등대를 지나 주전해변 앞바다로 나갔다. 이곳은 쇠돌고래과인 상쾡이의 집단 서식지다. 비록 찰나의 순간이지만 간혹 물 위로 새까만 등을 노출하는 놈들을 볼 수 있었다.
진짜 보고 싶었던 것은 집채 만한 고래의 거대한 몸짓이거나 수십마리 돌고래들이 펼치는 군무였는데. 오랫동안 기다리고 찾아다녔건만 ‘고래의 꿈’은 쉽게 이뤄지지 않았다. 안개 낮게 깔린 조용한 바다 저편, 조선소의 거대한 크레인이 고래등처럼 모습을 드러내고 있을 뿐이었다.
울산의 고래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곳은 장생포의 고래박물관이다. 2005년 문을 연 이곳은 1층 어린이체험관, 2층 포경역사관, 3층 귀신고래관과 고래해체장 복원관 등으로 꾸며져 있다.
박물관에서 가장 오래 시선을 잡아끄는 것은 따개비가 기생한 귀신고래의 모형이다. 갯바위에 앉을 따개비들이 귀신고래의 피부에 깊숙이 뿌리를 내려 기생한다. 이 따개비가 떨어지면 몸에 지워지지 않는 둥근모양의 흰자국이 남는다.
귀신고래는 1912년 미국인 앤드루스가 동해에서 발견, 학명을 ‘코리안 회색 고래’라 명명했다. 세계 고래 학명에서 우리 학명이 붙은 고래는 귀신고래 뿐이다. 하지만 1977년 이후 동해에서는 귀신고래를 보질 못했다고 한다. 울산에 거대한 공장들이 들어선 후다. 고래연구소는 이 사라진 귀신고래에 현상금 1,000만원을 걸고 그 귀환을 간절히 바라고 있다.
'반구대 암각화'에 새겨진 선인의 숨결
울산의 고래 구경은 산에서도 할 수 있다. 태화강 지류인 대곡천 상류에 깎아지른 절벽이 있다. 그곳에 고래가 그려진 세계적인 암각화가 있다. 엊그제까지도 살다가 떠난 듯한 선사인들의 숨결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곳이다.
계곡 옆 호젓한 산책길을 걸으면 거북이 누워있는 모습의 반구대를 만나고, 좀더 걸어 오르면 반구대 암각화가 강 저편으로 보인다. 깎아지른 벼랑의 바위들 중 유독 짙은 빛을 띄는 아래쪽 평면이 암각화가 그려진 곳이다. 전망대에 설치된 망원경으로 선사인들의 그림을 관찰할 수 있다.
반구대 앞에는 정몽주, 이언적 등을 모신 반구서원이 있다. 반구대 암각화 가기 1.4km 전에는 ‘반구대 암각화 전시관’이 조성돼 30일 개장을 눈앞에 두고 있다. 세계적 학술가치가 있는 반구대 암각화에 대해 신개념의 전시기법을 통해 자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는 곳이다.
■ 12가지 맛 고래고기
고래는 뼈와 이빨을 빼고는 버릴 것이 없다고 한다. 흔히 '고래고기의 맛은 12가지'라고 한다. 부위에 따라 맛이 다르기 때문이다. 육질은 생선회처럼 부드럽지만 맛은 쇠고기와 비슷하다.
고래고기를 처음 먹는다면 육회가 낫다. 수육에서는 약간 노린내가 난다. 얼렸다가 참치회처럼 해동시켜 먹는 가슴살을 일본인들은 '우네'라고 하는데, 입에서 살살 녹는다. 꼬리를 데쳐서 얇게 저며 나오는 '오베기'는 쫄깃거리는 맛이 으뜸이다. 수육은 내장 갈비살 뱃살 등살 등으로 마련된다. 갈비살을 넣고 끓인 고래찌개는 쇠고기 육개장과 맛이 비슷하다.
울산에서 고래고기를 취급하는 곳은 장생포, 남구 달동 등 시내 중심가에 100여 곳이 된다. 고래고기의 가격은 한우의 배에 가깝다. 여러 가지 맛을 볼 수 있는 코스 요리의 경우 1인당 5만원 정도. 남구 달동의 태화루(052-267-5573) 등 이름난 집에서는 냄새없는 깔끔한 고래고기를 먹을 수 있다.
울산=글ㆍ사진 이성원기자 sungwon@hk.co.kr
ⓒ 인터넷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터넷한국일보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인터넷한국일보는>
■ 생명 뛰노는 태화강… 대숲… 옹기마을… 생태 울산!
현대자동차, 현대중공업, SK에너지…. 울산은 공업의 도시다. 한때 그 공장의 굴뚝에서 뿜어져 나오는 공해 때문에 수천 가구가 고향을 등져야만 했던 곳. 이 매연의 도시가 최근 친환경 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울산의 번영은 시내를 가로지르는 태화강의 죽음이라는 대가를 치러야 했다. 오폐수의 악취로 1990년대만 해도 강변을 걷는 것조차도 힘들었다. 하지만 이후 강을 살리자는 온 시민의 노력이 모아졌고, 태화강은 기적적으로 살아나 이젠 은어와 연어가 돌아오는 1, 2급수의 깨끗한 강으로 다시 태어났다.
강의 중심인 태화들의 십리대숲은 마치 전남 담양의 대밭에 온듯 대나무가 빽빽히 들어차 강변의 운치를 더한다. 대숲 사이 산책로는 울산 시민들이 건강을 호흡하는 길이다. 일제시대 강의 범람을 막고자 조성된 대숲이라고 한다. 이 대숲 앞 강물에서는 매년 되살아난 태화강을 기념하는 수영대회가 열린다.
태화교 인근 둔치에선 홍콩에서 볼 수 있는 용머리를 단 긴 배인 용선이나 카누를 체험할 수 있다. 울산카누연맹 홈페이지(www.ulsancanoe.co.kr) 또는 현장에서 접수받는다. 이번 달은 25일까지, 6월에는 4~15일에 체험할 수 있다. (052)292-6173
울주군의 외고산 옹기마을은 전국에서 가장 큰 옹기마을이다. 한때 400여명이 옹기를 만들어내던 곳이지만 지금은 40여명의 장인이 전통방식 그대로 옹기를 만들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전국 옹기 생산량의 절반 가량을 책임지고 있는 곳이다.
4대째 옹기 가업을 잇고 있는 신일성(65)씨는 “세상에 변하지 말아야 할 것이 두 가지인데, 그 하나가 옹기이고 다른 것이 사람의 심성”이라며 “옹기에 퓨전이란게 덧씌워지면 그건 옹기가 아니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2009 울산 세계옹기문화 엑스포’를 앞두고 관광자원화 사업이 진행중이다.
울산에는 울기등대와 간절곶등대, 2곳의 등대 명소가 있다. 울기등대의 역사는 1905년으로 거슬러 오른다. 일본이 러일전쟁을 앞두고 군사적 목적으로 나무로 급조해 등불을 밝힌 게 그 시초다.
이듬해 콘크리트 구조물인 지금의 등대가 세워졌다. 울기등대가 서 있는 곳은 대왕암 언덕이다. 대왕암은 신라 문무대왕의 수중릉이다. 문무대왕이 경주 감포 앞바다에 묻히자, 왕비도 땅이 아닌 이곳에 묻어달라 했다고 전해진다.
등대로 가는 길은 30년 이상 된 소나무 1만5,000그루의 거대한 송림을 지나야 한다. 숲길 끝에 등대 2개가 서 있다. 울기등대의 등탑은 원래 6m 높이로 건축됐는데 1987년 바로 옆에 24m 높이의 새 등대가 세워졌다.
간절곶등대는 새해 첫날 한반도에서 가장 먼저 해가 뜬다는 곳에 서 있다. 간절곶은 바다에서 보면 긴 간짓대(막대기)처럼 보인다 해서 이름이 붙었다. 1920년 그곳에 등대가 세워졌다.
울산=글ㆍ사진 이성원기자
ⓒ 인터넷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터넷한국일보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인터넷한국일보는>
■ 길에서 띄우는 편지/ 7,000년을 고래와 함께한 울산
울산 사람들은 울산과 고래의 인연을 7,000년 전까지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울주군의 반구대 암각화 때문입니다. 반구대 암각화 전시관의 정상태 자문위원은 “해양동물과 육지동물이 함께 그려져 있는 세계 최고의 걸작”이라고 말합니다.
반구대 암각화에는 296점의 동물 그림이 있는데 그 중 고래가 58마리에 달합니다. 대충 그려진 고래들이 아닙니다. 새끼를 업은 귀신고래, 작살 맞은 고래, 몸 아래쪽에 몇 개의 깊은 홈이 있는 귀신고래, 공기를 내뿜는 수염고래, 아래턱에서 배꼽 뒤쪽까지 넓은 주름이 있는 혹등고래, 배면이 흰색인 범고래, 머리가 사각형인 향고래 등과 해체된 고래의 모습까지, 현대 고래학자들도 놀랄 정도로 정확하고 상세하게 새겨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 소중한 반구대 암각화는 일년 열두달 중에 8개월을 물 속에 잠겨 있어야 합니다. 암각화가 발견된 것은 1971년. 일대를 수몰시킨 사연댐이 대곡천에 조성된 지 6년 후의 일이였습니다.
그 전에 발견됐더라면 댐은 지어지지 않았을 텐데, 정말 얄궂은 운명이지요. 사연댐의 물은 울산시민의 식수로 제공되고 울산의 번영을 이끈 공업용수로 사용됩니다.
7,000년을 그 모습 고스란히 견뎌온 암각화는 30여년의 ‘수몰’로 많이 훼손되고 있습니다. 해서 많은 이들이 반구대 암각화를 보호할 방법을 찾기 위해 여러 아이디어를 내놓고 있습니다.
암각화 앞에 투명 아크릴판 등 차수막을 설치하자는 안도 있었고, 댐의 수위를 55m 이하로 고정해 암각화가 물에 잠기지 않게 유지하자는 안도 있었습니다. 암각화 보존을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은 댐을 없애는 것이겠죠. 하지만 그 물이 울산시민의 생명수이다 보니 결정이 쉽지 않습니다.
문득 논란만 키우고 있는 한반도 대운하가 떠올랐습니다. 별 효용도 없는 물길을 내기 위해 백두대간을 뚫겠다는 사업 말입니다. 요즘은 반대 여론이 거세 정부도 고심 중이라죠. 한반도 대운하에 쏟을 힘과 기술을 이곳 대곡천의 물길을 돌려보는데 사용하는 것이 어떨까 생각해봤습니다.
반구대 암각화도 살고 울산의 젖줄도 함께 살리는 방법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해서요. 대운하와 달리 국민들로부터 욕 먹지 않고, 오히려 박수를 받을 수 있는 사업이 될 텐데 말입니다.
울산=이성원 기자
ⓒ 인터넷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터넷한국일보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인터넷한국일보는>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