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공기업 기관장 인선을 놓고 논란이 많다. 정치권 핵심부와의 친소관계가 인선 기준이 되고 있다는 비난과 함께 적재적소의 인물난을 호소하는 현실론 역시 만만치 않다.
이에 따라 “무조건적인 관료 출신 배제에서 벗어나 전문성있고 능력있는 전직 관료를 과감히 기용하고 현직이라 하더라도 임기를 많이 남겨놓고 있으며 전문성을 갖춘 기관장의 경우 연임시키는 묘를 발휘해야 할 것”으로 지적하고 있다.
금융 공기업 기관장 인선과정에서 제기되고 있는 우선적인 우려는 ‘또 다른 형태의 코드인사’다. “금융공기업 기관장들의 재신임과정에서는 ‘누가 과거 정권 코드인사냐’가 문제되더니, 이번 신임 기관장 인선을 앞두고는 ‘누가 새정부와 친분이 있는지’가 선임 기준”이라는 말이 널리 퍼져있다. 이미 공모절차에 들어가 있는 금융공기업에서 조차 나돌고 있는‘기관장 내정설’의 배경이다.
금융위원회는 공모 없이 금융위원장이 제청하고 대통령이 임명하는 산업은행 총재를 조만간 임명하는 것을 필두로, 공석이 된 금융공기업 기관장들에 대한 인사를 단행할 예정이다. 산업은행 총재에 황영기 전 우리금융그룹 회장, 손성원 전 LA한미은행장, 민유성 리만브라더스 한국대표 등의 이름이 꾸준히 나오고 있다. 이중 황영기 전 회장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가운데 이덕훈 전 금융통화위원의 내정설도 있다.
우리금융지주 회장 후보로는 이팔성 서울시립교향악단 대표(전 우리투자증권 사장)가 사실상 확정됐다는 말이 널리 퍼져있다. 새 정부와 친분이 있는 인사의 자리배정이라는 설이 나도는 직접적인 이유다. 이명박 대선후보 선대위의 경제살리기 특위에서 활동했던 이팔성 대표는 이명박 대통령과 고려대 동문으로 대통령이 서울시장으로 있을 때부터 친분이 두터웠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금융위는 “누군가 이미 내정됐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여러 후보군이 있는 것은 맞지만, (기관장 인사는) 청와대에서 최종 결정해야 확정된다”고 말했다.
금융계 고위 관계자도 “금융기관장 후보군을 놓고 정부가 지나치게 제한함으로써 이들 이외에 마땅한 인물도 없다”고 부연했다. 경직된 인선원칙 때문에 인재풀 역시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특히 산업은행 우리은행 외에도 10여개 일반 금융 공기업 수장을 찾아야 하기 때문에 인력풀을 효율적으로 운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더욱 설득력을 얻고있다.
금융공기업 기관장 전체 후보군으로 넓혀보면 김종배 산업은행 부총재, 이우철 금융감독원 부원장, 이윤우 대우증권 이사회 의장, 하영구 한국씨티은행장, 김경동 우리금융지주 전무 등의 이름이 나온다. 관료 출신으로는 진동수 김석동 전 재정경제부 차관 등의 이름도 거론되고 있다. 내부 승진 역시 업계로서는 현실 가능한 하나의 안으로 기대하고 있다.
금융계 관계자들은 “과거 정권 인사를 배제하는 원칙은 정치적 인선의 경우로 한정해야 한다”고 전제, 전문성 있는 기관장과 능력있는 전직관료의 충분한 활용을 주문하고 있다.
이진희 기자 river@hk.co.kr
ⓒ 인터넷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터넷한국일보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인터넷한국일보는>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