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은 지금 심각한 위기다. 하지만 제대로 된 진단과 적절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다는 게 더 큰 문제다. 한나라당 내에서도 환골탈태를 주문하는 여론이 비등하다.
최근 여권의 위기는 단순히 한미 쇠고기협상을 졸속으로 했기 때문만은 아니다. 새 정부 초기 국정운영의 여러 실패가 쌓여 왔던 것이 이번에 터져 나왔다는 분석이 일반적이다. 한두 가지가 아니다. 정권 출범 때부터 ‘강부자 내각’ 논란을 부르더니 청와대 수석까지 재산 논란에 휩싸여 낙마하는 인사 시스템 실패를 보였다.
인사의 지역 편중도 비판을 받았다. 대통령직인수위 시절 영어 몰입 교육 등 서민 정서를 무시하는 정책을 추진하다 반발을 샀고, 중소기업보다 대기업 위주의 정책을 펴는 모습을 보여 ‘부자를 위한 정권이냐’는 비난도 받았다. 감사원장 등 임기가 보장된 정부ㆍ공공기관장들에게 사퇴 압박을 하는 모양새를 연출해 논란을 부르기도 했다. 당 내부적으로는 친박 복당 문제로 내내 반목했다. 이런 것들이 쌓여 결국 민심이반을 가져온 것이다.
문제는 이런 심각성을 제대로 인식하고 있느냐다. 불행히도 아직 그렇지 못하다. 당장 이명박 대통령과 강재섭 대표의 19일 정례회동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강 대표가 성난 민심을 전하고 제 살을 깎는 국정쇄신책을 청와대가 수용해도 모자랄 판에 아예 거론조차 하지 않았다. 원희룡 의원은 20일 “대통령 눈치를 본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당 대표로서의 역할을 포기한 것이어서 너무나 실망스럽다”며 “한가한 상황이 아니다. 특단의 쇄신이 불가피하다”고 비판했다.
청와대가 인적쇄신론을 불편해 하고, 이 대통령에게 직언하는 사람이 없다는 점도 문제라는 지적이다. 한 의원은 “가장 큰 문제는 대통령에게 ‘노(NO)’라고 하는 사람이 없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지금의 민심이반을 단순히 소통의 부족, 홍보의 부족으로 치부해서는 안 된다는 말도 나온다. 명지대 김형준 교수는 “중요한 것은 소통의 자세”라며 “대통령을 따라오라는 식은 곤란하다”고 말했다.
숭실대 강원택 교수는 “듣고 싶은 말만 듣는 식은 소통이 아니다”며 “대통령이 포용과 화합을 위한 정치적 역량을 적극적으로 보여야 할 때”라고 말했다. 아울러 “국정운영의 핵심 원리와 방향성을 정확히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김 교수)는 지적도 있다.
정녹용 기자 ltrees@hk.co.kr
ⓒ 인터넷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터넷한국일보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인터넷한국일보는>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