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가 방송광고 판매대행에도 시장 경쟁 개념을 적용, 한국방송광고공사(KOBACO)의 업무를 대체할 민간 대행사인 미디어렙(Media Representative)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광고시장 규제 해제라는 세계적 추세에 맞다"는 주장과 "주요 지상파방송에 대한 광고 쏠림 현상으로 종교방송ㆍ지역민방 등 중소 방송사의 고사를 부를 것"이라는 반론이 첨예하게 맞서고 있다.
■ 중소 방송사 "광고 준다" 반발
문화부는 최근 '방송광고제도 개선회의'를 열고 미디어렙 도입에 대한 관계단체의 의견을 들었다. 문화부 회의에 참석한 단체 중 광고주협회, 광고단체연합회는 미디어렙 도입을 지지한 반면 코바코와 종교방송사협의회, 지역방송협의회, 한국신문협회는 반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디어렙이 도입되면 광고 거래가 자율적으로 이뤄지며 광고판매 가격도 시장에 의해 결정된다. 1981년 코바코 설립이래 지속돼 온 방송광고 판매대행 독점 체제가 무너지게 되는 것이다.
문화부가 미디어렙 도입 검토를 위해 3월 코바코에 연구 의뢰한 '방송광고제도 변화에 따른 매체별 광고비 영향분석'보고서에 따르면 미디어렙이 제한적으로 도입될 경우 주요 지상파방송은 4년 후 광고시장이 35.3% 증가하지만 지역민방과 종교방송은 각각 20%와 80% 감소한다.
또 대형 신문사와 중소 신문사간의 광고 격차도 심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렙이 도입되면 중소 매체가 경영난에 시달리다 시장서 퇴출 될 수 있음을 보고서는 시사하고 있다.
박원식(불교방송 경영기획실장) 종교방송사협의회 간사는 "현재 공익적 방송광고 체제는 역기능보다 순기능이 더 많다"며 "민영 미디어렙이 도입되면 방송의 다양성과 공익성이 약화되고 상업성만 짙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 학계 "방송체제 개편과 맞물려야"
광고계와 학계는 대체로 미디어렙 도입을 시대적 추세로 받아들이고 있다. 코바코가 광고주의 압력을 차단하고 방송의 공공성과 독립성 보장에 이바지 했지만 취약시간대 광고 묶음 판매 등으로 광고시장을 왜곡해 왔다는 비판적 평가가 많다.
한 사립대의 광고홍보학과 교수는 "미디어렙이 도입되면 묶음 판매 등에 의한 광고주의 불합리한 부담이 사라질 것"이라며 "광고주가 자금 여유를 갖게 되면 중소매체도 큰 피해를 보진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미디어렙 도입은 방송체제의 전반적인 변화 속에서 모색돼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김신동 한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는 "현재의 '다(多)공영 일(一)민영' 방송체제의 전환 등 큰 그림을 그리며 미디어렙 도입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라제기 기자 wenders@hk.co.kr
ⓒ 인터넷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터넷한국일보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인터넷한국일보는>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