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식량난이 심각한 상황이라는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1990년대 중반 전체 인구의 5%인 100만 명이 아사한 것과 같은 최악의 기아사태가 임박했다는 것이다. 미국의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가 30일 개최한 북한 식량위기 관련 세미나에서 이 연구소의 마커스 놀랜드 선임연구원은 “10년 전 기근 사태가 끝난 이후 가장 위험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앞서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와 세계식량계획(WFP) 등 국제기구들도 북한의 식량사정이 심각한 위기상황임을 앞 다퉈 경고했다.
대북지원단체인 ‘좋은벗들’이 전하는 북한의 식량난은 한층 위기감을 더한다. 이 단체의 온라인 소식지 ‘오늘의 북한 소식’ 30일자에 따르면 평안남도 양덕군 농촌마을에서는 운신조차 못할 정도로 굶주림에 지쳐 쓰러진 사람들이 늘고 있고, 마을마다 굶어죽는 사람들이 하나 둘 나타나고 있다고 한다.
공식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사실이라면 우려하던 최악의 사태가 현실화하고 있는 것이다. 곡창지대인 평안남도가 이 정도라면 다른 지역은 더 말할 게 없다. 쌀값은 지난해 말부터 치솟아 최근엔 1㎏에 노동자 한 달 월급인 2,500원을 넘어 3,000원대로 올랐으나 장마당에서 쌀 구경을 하기 어렵다고 한다.
사태가 이 지경인데도 북한 당국은 “식량 사정이 나쁜 것은 전 세계적 현상”이라며 허리띠를 졸라맬 것만 요구하고 있다니 분노가 치민다. 중국에 식량 지원을 요청했다지만 중국도 자국 내 식량 확보를 위해 수출을 통제하는 상황이니 도움을 주기 어렵다. 국제사회의 식량지원도 대북지원 피로증이 증가하면서 최근 들어 급감한 상태다. 기대할 곳은 남한밖에 없는데 굶어죽는 한이 있어도 이명박 정부에 먼저 식량 지원해달라고 굽힐 수는 없다고 버티고 있다.
우리 정부가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다. 인도적 지원은 남북관계 경색과 별개라면서도 요청이 오면 검토하겠다는 입장만 고집한다면 북한 주민의 대량 아사사태를 방치하는 결과를 빚고 만다. 대참사를 막으려면 더 늦기 전에 대한적십자사를 앞세우든 어떻게 하든 돌파구를 열어야 한다.
ⓒ 인터넷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터넷한국일보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인터넷한국일보는>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