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청와대 해킹 파장/ 해커 최종소재 확인 못해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청와대 해킹 파장/ 해커 최종소재 확인 못해

입력
2008.04.23 05:27
0 0

청와대는 내부 전산망에서 자료를 빼간 해커가 3국을 통해 침입한 것으로 파악했지만 해커의 최종 소재는 아직 확인하지 못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22일 "웜바이러스 감염 이메일을 발송한 IP(인터넷프로토콜)를 추적한 결과, 해킹 경유지로 사용된 이력이 많은 주변 3국으로 추정된다"며 "해킹된 자료가 나간 경로도 그쪽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해커들은 중국이나 동남아를 통해 청와대를 노린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청와대가 파악한 것은 거기까지다. 구체적으로 어디에서 해킹을 했는지는 베일에 가려져 있다.

중국은 미국과 유럽에서 주요 해킹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진원지로 지목될 정도로 의심을 많이 받고 있다. 지난해 6월 미 국방부 해킹 사건이 대표적이다.

철벽 보안을 자랑하는 미 국방부에 해커들이 침입, 국방부 사이버 공간 구석구석을 누비고 일부 자료를 빼내갔다. 당시 미 관리들은 비공식적으로 “배후에는 중국 인민해방군이 있다”고 언론에 밝혔다.

두 달 뒤 독일 언론은 중국 인민해방군 소속 해커들이 ‘트로이 목마’ 바이러스를 이용, 독일 총리실 시스템 등을 해킹했다고 보도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원자바오(溫家寶) 총리와의 회담에서 이 문제를 정식 거론할 정도로 심각하게 대응했다.

1991년 걸프전 이후 사이버전의 중요성을 인식한 중국은 풍부한 인적 자원을 토대로 1997년 해커부대를 창설했으며, 컴퓨터 바이러스 전담부대도 운용하고 있다. 중국에는 ‘홍커’(紅客)으로 불리는 100만명 가량의 해커들이 활동중이다. 하지만 중국 정부는 해킹 사건의 진원지로 거론될 때마다 “전혀 근거 없으며 냉전적인 발상”이라고 일축해왔다.

청와대는 공식발표를 통해 용의선상에서 제외했지만 북한도 여전히 해킹 진원지로 지목된다.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구 국가안전보장회의를 노렸다는 점에서 한반도 안보와 직결된 국가일 가능성이 높다"며 "북한의 소행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북한의 해킹 능력도 한국군 정보 당국자가 “미국 중앙정보국(CIA) 수준”이라고 밝힐 정도로 높은 수준이다. 2004년 송영근 당시 국군기무사령관은 “북한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지시로 놀라운 해킹 능력을 보유한 정예 해킹부대를 운용하면서 남한 국가기관 등의 정보를 수집하는 등 사이버 테러 능력을 지니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은 500~600명 규모의 해킹 전문인력을 보유하고 5년 과정의 미림자동화대학 등지에서 전문 해킹기법을 연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이영섭 특파원 younglee@hk.co.kr

ⓒ 인터넷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터넷한국일보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