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탁한 세상을 맑게 할 수 있도록 정신 계발을 하는 것이 종교인의 임무입니다."
28일은 원불교를 창시한 소태산 박중빈(朴重彬ㆍ1891~1943) 대종사가 93년 전 깨달음을 얻은 날이다. 최대 명절인 대각개교절(大覺開敎節)을 맞아 행사 준비에 바쁜 원불교 교정원장 교산(敎山) 이성택 (李成澤ㆍ65) 종사를 14일 서울 종로구 원서동 은덕문화원에서 만났다.
이 교정원장은 요즘 세상을 보면서 종교인으로서 책임을 느낀다고 말했다. "어린이 성추행이나 유괴 등으로 학부모들이 마음 놓고 자녀들을 학교에 못 보내는 세상이 됐는데 이것은 인간의 정신이 쇠락해져 나타나는 사회현상입니다.
종교인의 책임이 무겁다는 것을 느낍니다." 맑은 생수가 조금씩 흘러 들어 큰 저수지 전체가 맑아지는 것처럼 종교인들이 본연의 임무에 충실함으로써 세상이 밝아질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이 교정원장은 종교인의 책임을 진다는 것은 원불교식으로 표현하면 정신개벽운동이 된다고 말했다. 사람이 살다 보면 외부 환경에 정신이 끌려가 온전한 정신을 갖지 못하는 때가 있는데 온전한 정신을 챙겨 물질에 끌려가지 않고 물질을 선용하자는 것이 정신개벽운동이며 정신개벽을 하려면 종교마다 방법은 다르지만 마음공부를 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공통된다고 그는 설명했다.
이 교정원장은 여러 종교의 창시자들이 가르친 방법은 다르지만 그 목적은 하나로 통할 것이라면서 "성서의 가르침을 제대로 실천하고, 부처님 법을 제대로 따르면 그 속에 원불교가 말하는 마음공부가 들어있다"고 말했다.
원불교는 마음공부를 위해 정신수양(精神修養) 사리연구(事理硏究) 작업취사(作業取舍) 등의 삼학(三學)을 가르치는 데 이는 결국 '마음을 잘 써야 한다'는 것이며 보통 사람들은 모든 사람이나 물건을 대할 때 불공을 드리는 심정으로 하면 된다고 덧붙였다.
수행 삼아 오랫동안 도예를 해왔다는 이 교정원장은 '흙의 철학'이 매우 깊은 것을 알게 됐다고 했다. "흙의 성질에 따라 국민성이 다릅니다. 일본 흙은 완숙한 노토(老土)라서 국민성이 원숙해 룰이 한번 정해지면 그대로 따릅니다.
반면 한국 흙은 젊은 소토(少土)인데 이런 흙 기운을 받고 거기서 생긴 음식을 먹고 사는 한국인은 개성적이고 창조적입니다. 우리나라가 IT산업의 선두주자가 된 것은 이런 생생한 흙 기운을 받아 시대를 열어나가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원불교는 26~27일 이틀간 전북 익산시 중앙체육공원에서 소태산 대종사가 깨달음을 얻은 순간을 '아하!'로 표현한 '아하!데이' 페스티벌을 열고, 28일 오전 익산 중앙총부와 국내외 700여개 교당에서 기념식을 갖는다.
남경욱기자 kwnam@hk.co.kr
ⓒ 인터넷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터넷한국일보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인터넷한국일보는>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