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의 날이다. 한국 최초 민간신문 <독립신문> 창간기념일에 맞춰 1957년 신문의 날이 제정된 이후, 신문 종사자들은 해마다 4월 7일을 맞으면 언론의 독립과 신문의 사명을 진지하게 되새긴다. 올해는 그 의미가 특히 크다. 언론의 중추로서, 점점 위상을 위협 받고 있는 신문은 안팎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세상의 감시자로서 언론의 자유와 책임에 충실하면서 우리사회의 뿌리 깊은 반목과 갈등을 치유해야 하며, 혼탁한 정보공해 속에서 공론의 선도자 역할을 다해야 한다. 독립신문>
노무현 정부시절 만큼 신문을 혐오하고, 무시하고, 통제한 적도 드물었다. 비판적이거나 불리한 기사에는 사사건건 법정시비를 벌이고, 그 시비를 업적으로 평가했다. 그것으로도 ‘비판’을 막지 못하자 ‘취재지원 선진화방안’까지 동원해 기자실에 대못질을 하고, 정보 접근권을 봉쇄했다.
그 뒤를 이은 이명박정부는 처음부터 언론의 자유와 독립의 존중을 선언했다. 기자실도 복원했다. 이제는 과거 정부가 무리하게 도입한 신문의 독립과 자율성을 해치는 신문법, 언론중재법의 독소 조항들을 하루빨리 없애야 한다.
4일 열린 52주년 신문의 날 기념 축하연에서 이명박 대통령도 “정부가 제도적, 정책적으로 필요한 뒷받침을 하겠다”고 약속한 것처럼 제한적이나마 신문의 방송 겸영도 허용해야 하는 게 마땅하다. 신문과 방송의 경계가 무너진 데다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서 신문의 콘텐츠 효율성을 높여 경쟁력을 높이는 길이기 때문이다.
다만 이것이 또 다른 특혜로 이어져 권력과 언론의 유착, 시장독점과 그에 따른 정보 왜곡을 빚어서는 안 된다. 새 정부가 말하는 ‘프레스 프렌들리(press friendly)’도 이런 의미는 아닐 것이다. 그런데 벌써 일부 신문들이 오해하고 있는 듯해 걱정스럽다. 올해 신문의 날 표어는 ‘세상을 읽어라, 신문을 펼쳐라’이다. 펼친 신문이 자기 이익에만 치우쳐 있으면 세상을 제대로 읽을 수 없다. 한국일보의 사시(社是) 중 하나는 ‘불편부당의 자세’다. 한 신문사의 사시로만 치부될 덕목이 아니다.
ⓒ 인터넷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터넷한국일보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인터넷한국일보는>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