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친이명박계의 좌장이었던 이재오 의원과 이방호 사무총장의 낙마로 권력 공백이 생김에 따라 친이계의 권력 구도 재편이 불가피해졌다. 권력 재편은 7월 전당대회에서의 당권 투쟁과도 맞물려 복잡하게 전개될 가능성이 크다.
대선 승리 후 한나라당 핵심 실세로 부상한 이 의원의 퇴장은 일단 이상득 국회부의장의 영향력 확대로 이어질 전망이다. 친이계의 구심점 역할을 해온 이 의원의 공백을 메꿀 사람이 현재로선 이 부의장뿐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통령의 친형이라는 점이 부담이고, 공천 파동을 거치며 당 안팎의 눈총을 받았던 것이 부담이다.
그래서 친이계의 구심력을 메울 인물로 몇몇의 대타가 거론된다. 그 중 첫번째가 정몽준 최고위원이다. 통합민주당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을 꺾고 6선에 성공한 그는 이미 당권 도전 의사를 밝혔다. 친박근혜에게 당권을 내 주는 것을 꺼리는 친이 측 입장에선 손색 없는 연대의 대상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당내 기반이 미미하다는 것이 약점이고, 친이계의 결속력을 다질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당내 중진인 5선의 김형오 의원도 가능한 카드다. 김 의원은 국회의장 후보와 친이계를 대리하는 당 대표 후보로 동시에 거론되고 있다. 4선 홍준표 의원도 중용 돼 친이계의 유력 인사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을 배제 할 수 없다.
최근에는 서울시장 시절부터 이명박 대통령을 보좌했던 이춘식 백성운 조해진 정태근 강승규 당선자 등 ‘MB직계’ 그룹이 다크호스로 등장하고 있다.
이들은 이 대통령의 대선 예비캠프 역할을 한 ‘안국포럼’ 멤버들로 낙선한 실세 측근들의 빈자리를 채우고 스스로 이명박 정부의 신주류로 자리매김하면서 본격적으로 당내 권력을 확대하려 할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이 이번에 원내 진입에 성공해 조건도 마련됐다.
정두언 의원 등 국회 재입성에 성공한 소장파 의원들도 무시할 수 없다. 대통령 당선인 비서실장 출신의 임태희 의원은 3선의 고지를 밟았고, 당선인 대변인을 지낸 주호영 의원은 재선에 성공했다.
특히 대통령의 서울시장 시절부터 핵심참모 역할을 해온 정 의원이 이번 총선에서 약진한 안국포럼 출신 초선 의원들의 좌장 역할을 맡게 될지도 관심거리다. 하지만 총선에서 이 대통령의 형인 이 부의장의 공천반납을 요구했던 주역이어서 이 부의장과의 대립이 불거질 가능성도 있다.
고성호 기자 sungho@hk.co.kr
ⓒ 인터넷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터넷한국일보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인터넷한국일보는>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