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여곡절 끝에 지역구 공천을 매듭 지은 한나라당이 비례대표 후보 선정을 위한 심사에 들어갔다. 통일민주당의 지역구 공천이 끝나지는 않았지만, 여야의 열띤 표 대결이 빚어질 지역의 윤곽은 거의 드러나 판세 탐색이 활기를 띠고 있다.
일련의 여론조사 결과는 지난해 대선 이후 특별한 변화 요인이 없을 듯하던 한나라당 압승 분위기가 크게 바뀌고 있음을 보여준다. 수도권 격전지로 꼽히는 18개 지역에서 한나라당은 6개 지역 정도는 열세이고, ‘불안정 지역’도 늘어나고 있다.
정당 지지율은 민주당이 따르지 못할 만큼 여전히 높지만, 후보 지지율에서는 야당 후보를 멀리 따돌린 곳이 드물다. 20%가 넘는 무응답자들의 잠재적 투표성향까지 감안하면 강남 등 극히 일부 지역을 빼고 안심할 만한 곳이 사실상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때 민주당 내에 수도권 전멸 우려가 무성했을 정도로 일방적이던 표밭 분위기가 바뀐 것을 모두 한나라당 탓으로 칠 수야 없다. 이명박 대통령의 취임 초기 지지율이 민주화 이후 역대 대통령 최저를 기록한 데서 확인되듯, 지난해 대선 당시의 ‘무조건 MB’ 열기가 급랭한 여파일 수 있다. ‘개혁공천’과 손학규 대표 및 정동영 전 통일부장관의 서울 출마가 상징하는 민주당의 변신 노력이 국민의 눈길을 끈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말 많고, 탈 많았던 지역구 공천과정에서 한나라당 지도부가 드러낸 일방주의적 태도가 유권자들의 의구심을 자극한 것도 부인할 수 없다. 6대 4 정도로 황금분할에 가까웠던 ‘이명박 계’ 대 ‘박근혜 계’의 세력분포가 최소 4대 1 정도로 크게 일그러진 결과를 ‘이명박 계’의 일방주의를 빼놓고 설명하기란 어렵다. 박 전 대표 측 반발에 공감하는 사람이나 당정 양쪽의 밀어붙이기 행태에 실망한 사람이 적지 않다.
그런 행태가 비례대표 공천에까지 이어지면 격차는 최대 5대 1로 벌어질 수도 있다. 김장수 전 국방장관 영입에서 이미 그런 조짐이 보인다. 이런 실상을 어색한 논리로 가리려 하기보다 비례대표 공천에서라도 신중하게 균형을 따져 보아야 한다.
ⓒ 인터넷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터넷한국일보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인터넷한국일보는>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