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티베트, 시짱(西藏) 자치구의 유혈사태는 1989년 이후 지속된 평온이 갑자기 깨진 데다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있어 국제사회에 큰 파문을 일으켰다.
중국도 뜻밖의 충격을 받았다는 폭력사태는 진정되는 조짐이지만 유동적이다. 사태의 의미와 향방을 옳게 가늠하려면 배경부터 정확히 헤아릴 필요가 있다.
중국 경찰의 발포로 100여 명이 사망했다는 망명단체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아직 없다. 진압경찰이 최루탄을 주로 쓰고 있다는 목격담에 비춰, 10명이 숨졌다는 공식 발표와 30명 선이라는 증언에 무게가 실린다. 다만 민간에 총기가 많아 유혈 충돌의 개연성은 남아 있다.
사태의 발단은 1959년 무장봉기 날짜에 맞춰 수도 라싸의 라마교 승려들이 독립과 종교자유를 요구하는 단식농성을 벌인 것이다. 경찰이 사찰을 봉쇄하자 승려 2명이 분신을 기도, 이에 자극된 시민들이 중국인 상점과 차량에 불을 지르는 등 소요가 확산됐다.
중국의 소수민족 문제, 특히 티베트에 관심이 많은 서구 언론과 정부가 올림픽을 앞두고 터진 유혈사태에 비상한 관심을 보인 것은 자연스럽다.
그러나 사태의 배경을 중국의 주권 침탈과 인권 탄압으로 규정하는 것은 경솔하다. 1959년 망명한 티베트 지도자 달라이 라마도 오래 전부터 "독립은 역사적 맥락에 맞지 않는다"며 자치 확대와 고유문화 존중을 요구하고 있다. 또 중국은 초기 억압정책에도 불구하고 봉건적 신정(神政)체제와 착취구조를 해체, 교육 의료 철도 등 근대적 인프라를 구축했다.
이에 따라 특권적 지위를 잃은 승려와 망명 지배계층이 인권 탄압을 빌미로 독립을 요구하는 것에 서구가 동조하는 것은 위선이라는 비판도 많다.
중국이 외세 개입을 의심하는 것도 이런 연유에서다. 진상은 알 수 없으나 안팎의 불만세력이 올림픽에 이목이 쏠린 틈을 타 분란을 꾀한 것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중국의 자제와 평화적 해결 노력이 무엇보다 긴요하지만, 외부세계도 사태를 과장하거나 지레 올림픽 보이콧을 거론하는 일은 삼가야 한다.
ⓒ 인터넷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터넷한국일보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인터넷한국일보는>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